-
IMF 케냐에 4억 3300만 달러 원조 합의
[출처=IMF]국제통화기금(IMF)은 11월 8일 케냐의 "평화적인 선거 완료"에 따라 케냐 당국과 합의에 도달했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의 23억 달러 대출 프로그램에 따라 원조의...
-
아부다비항만, IDB와 이라크 항만 개발 MOU 체결
[출처=아부다비항만]아부다비항만(ADBG)과 국제개발은행(IDB)이 이라크지역 항만 개발을 골자로 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향후 아랍에미리트(UAE)와 이라크 간 교역흐름...
-
외화 보존 대책? 인도, 해외 무역 결제에 루피화 허용
인도화폐 [출처=인도중앙은행 페이스북]인도가 자국 화폐인 루피화에 의한 국제 무역 결제를 허용하기로 했다. 최근 달러 부족에 시달려 온 인도가 외화를 보존하는 동시에 수출을 촉진하...
-
호주, 베트남 새우 수입 급증...제로코로나로 中 새우 어획 감소 탓
호주의 베트남 새우 수입량은 올해 7월까지 51% 급증했다[출처=펙셀즈]호주에서 베트남산 새우 수입이 급증했지만 태국과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베트남의 수산...
-
말레이, 전기차 공공충전소 1만개 설립 목표...동남아가 그리는 ‘탈탄소 도로’
말레이시아 정부는 이미 700여개의 전기차 공공충전소 설치를 완료했다[출처=펙셀즈]말레이시아 정부가 현재 700개에 불과한 전기차 공공충전소를 2025년까지 최대 1만개까지 증설할...
-
세계은행 “그린수소 수출국으로 모로코가 적합”
모로코는 2050년까지 전력의 85%를 그린수소로 충당할 능력을 갖추고 있다[출처=언스플래시]모로코가 그린수소 수출을 적극 추진해 유럽의 저탄소 제조 산업의 중심지로 거듭나고자 한...
-
필리핀 3분기 GDP 성장 둔화...“마침내 터지고 말았다”
필리핀유니온은행은 올해 초부터 시작된 경기 재개와 이동성 개선으로 낙관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출처=언스플래시]필리핀의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둔화됐다...
-
베트남, 무역흑자 100억 달러 바라봐
베트남의 총 대외무역 거래액은 코로나19 유행 속에서도 6,680억 달러(약 924조 8,460억 원)를 기록했다[출처=언스플래시]베트남의 무역흑자가 80억 달러(약 11조 1,0...
-
베트남, 수요 감소로 해상무역 활기 잃어가
올해 이미 20% 가량 하락한 컨테이너선들의 경우 연말에 가까워질수록 상황은 더 악화될 것으로 점쳐졌다[출처=언스플래시]글로벌 무역시장이 고금리와 물가상승으로 활기를 잃기 시작하면...
-
UAE, 러시아 원유 고객되나...루와이스항에 나타난 러시아 유조선
러시아는 새로운 원유 고객을 찾아야 한다[출처=언스플래시]러시아산 원유를 실은 유조선이 아랍에미리트(UAE) 앞바다에 정박하고 있는 정황이 전해졌다. 이에 UAE가 러시아의 새로운...
-
잘 나가는 튀르키예 자동차, 10월 수출 26억 달러 돌파
[출처=아나돌루 이스즈]튀르키예의 자동차 수출이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전통적인 수출처 독일뿐 아니라 러시아 등 시장에서 높은 판매량을 보인 덕분으로 분석된다.울루다자동차산...
-
국제 항만터미널기업 ICTSI, 7분기 두자릿수 호황...글로벌 무역 회복 조짐?
ICTSI는 7분기 연속 두 자릿수 수익 증가율을 기록했다[출처=ICTSI]필리핀 최대 항만운영업체 국제컨테이너터미널서비스(ICTSI)의 3분기 수익이 43%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
인도 의류 수출업체, 인플레이션‧경기침체 속에서 고군분투
올해 의류 수출업체들은 총매상고가 41% 증가했다[출처=파브인디아]인도 의류 수출업체들의 매출과 수익성이 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을 뿐 아니라 심지어 성장한 것으로 밝혀졌다. ...
-
쿠웨이트, 석유 개발 프로젝트에 440억 달러 쏟는다
[출처=KIPIC]쿠웨이트는 2025년까지 석유 생산, 탐사 및 정유공장 운영 프로젝트에 133억 쿠웨이트 디나르(440억 달러, 약 61조 원)를 지출할 계획이라고 지역 언론들이...
-
中-UAE 통상 협력 강화 "일대일로, 50 프로젝트 시너지 노린다"
[출처=visitdubai]중국과 아랍에미리트의 교역량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일대일로를 내세워 글로벌 영향력을 강화하려는 중국과 50 프로젝트를 통해 석유 산업을 벗어나 미래 ...
-
사우디 GDP 8%대 성장세...고유가 수혜 '톡톡'
사우디 리야드[출처=미 국무부]고유가 수혜를 톡톡히 본 사우디가 실질 GDP 8%의 높은 성장세를 기록했다. 특히 중국, 일본, 한국 등 사우디산 원유를 수입하는 국가들이 수입량을...
-
캄보디아, 쌀 수출량 증가세 보여...인도 쌀수출 통제에 반사이익
중국의 캄보디아산 백미 수입량은 23만 1,873t이다[출처=펙셀즈]캄보디아의 쌀 수출량이 10.6% 증가했다. 주요 쌀 수출국인 인도의 쌀 수출 통제로 반사이익이 발생한 것으로 ...
-
캄보디아, 베트남·中·日 수출 증가...지난해 비해 6% 상승
캄보디아의 최대 수출국 상위 3곳은 베트남, 중국, 일본이다[출처=펙셀즈]캄보디아가 올해 초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회원국와 발효한 자유무역협정(FTA)이 결실을 맺었다...
-
인도, 철광석 수출 하락세 여전...“관세 깎이지 않는 한 변함 없을 것”
인도는 저급 철광석에 대한 수출관세를 50%로 인상했다[출처=픽사베이]하락세를 이어가던 인도 철광석 수출이 ‘제로’에 가까운 수준으로 감소했다. 수출관세 인상과 주요 거래국인 중국...
-
모로코, 항공화물 매출 6조 원 기록하며 급상승
모로코는 현재 140개 항공우주 기업의 자회사로 완성 항공기를 제조한다[출처=펙셀즈]모로코 항공물류가 올해 53% 증가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공식 자료에 따르면, 모로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