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산 원유를 실은 유조선이 아랍에미리트(UAE) 앞바다에 정박하고 있는 정황이 전해졌다. 이에 UAE가 러시아의 새로운 원유 수입국이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이와 같은 소식을 전하며 수에즈막스(13만∼15만t급)급 선박인 타히티호가 UAE 루와이스 항구에서 인근에 정박해 있다고 보도했다. 타히티호는 10월 초에 러시아 부극해 항구인 무르만스크를 떠난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는 오는 12월 5일부터 유럽으로 통하는 모든 해상운송이 금지된다. 따라서 새로운 원유 고객을 찾는 것이 시급하다. 27개국으로 구성된 유럽연합(EU)은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러시아 제재를 위해 수입을 금지하고 있다.
지난 2일 타히티호는 아부다비의 국영석유회사의 정유소를 운영하는 부두에 도착해 약 36시간을 정박한 뒤 다시 떠났다. 루와이스는 페르시아만 안에 있기 때문에 배의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정박했을 가능성은 낮다.
블룸버그가 모니터링한 선박 추적 자료에 따르면, 타히티호는 이전에 목적지를 인도의 잠나가르로 신호를 보내고 있었다.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
[기획-경제 FOCUS] 독일 2월 수출 ‘깜짝 상승’…제조업 침체는 여전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