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락세를 이어가던 인도 철광석 수출이 ‘제로’에 가까운 수준으로 감소했다. 수출관세 인상과 주요 거래국인 중국의 경기침체가 주원인으로 꼽혔다.
인도는 지난 5월 철 함유량이 58% 이하인 저급 철광석에 대한 수출관세를 50%로 인상했다.
R.K. 샤르마 인도광물산업연맹(FIMI) 사무총장은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 10월 수출은 거의 제로에 가까웠는데, 관세가 유지되는 동안에는 이어질 현상이라고 밝혔다,
FIMI가 집계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5개월 동안 인도의 철광석 수출량은 총 697만t으로 3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인도 국영 철광석 생산업체인 인도 NMDC의 대변인은 인도의 철광석 가격이 수요 감소로 하락했다고 밝혔다. 현재 NMDC의 고순도 철광석 가격은 4월 6,100루피에서 10월 4,100루피로 33% 하락했다.
샤르마 사무총장은 “수출세 인상 외에도 인도의 철광석 최대 구매국인 중국의 경기 둔화가 철강재 해외 수출에 타격을 줄 것”이라며 “겨울철 중국의 철강 생산량이 감소해 철광석 수요가 위축될 수 있다”고 밝혔다.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
[기획-경제 FOCUS] 독일 2월 수출 ‘깜짝 상승’…제조업 침체는 여전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