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 최대 항만운영업체 국제컨테이너터미널서비스(ICTSI)의 3분기 수익이 43%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세계 최대의 사업규모를 자랑하는 ICTSI의 호황이 세계 무역의 회복을 알리는 신호로 분석하고 있다.
ICTSI는 세계 약 20개국에서 항만터미널 30여곳 이상을 운영하는 완전독립계 항만운영기업이다.
ICTSI가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7분기 연속 두 자릿수 수익 증가율을 기록하면서 순이익이 1년 전 1억 1,971만 달러(약 1,634억 원)에서 3분기 1억 7,066만 달러(약 2,330억 원)로 증가했다
국제 무역이 가속화됨에 따라 항만 수입은 5억 7,670만 달러(약 7,874억 원)로 개선됐고 연결 수익은 20% 증가한 5억 9,500만 달러(약 8,124억 원)를 기록했다.
연간 기준으로 ICTSI의 이익은 영업이익과 외환차익 증가로 3억 1,637만 달러(약 4,320억 원)에서 4억 6,513만 달러(약 6,351억 원)로 절반 가까이 증가했다. 또 이 기간 전체 수익이 16억 9,000만 달러(약 2조 3,076억 원)로 증가했다.
지난 9월에는 작년 같은 기간의 827만 TEU보다 7% 증가한 886만 TEU를 운임했다. ICTSI는 연간 5만~350만 TEU 범위의 항만 및 터미널의 개발자, 관리자 및 운영자 역할을 합니다.
ICTSI는 새로운 해운선로와 터미널 서비스 도입으로 이익을 창출했다.
지금까지 9개월 동안 자본 지출에 배정된 3억 3,000만 달러(약 4,506억 원) 중 85%인 2억 8,130만 달러(약 3,841억 원)를 지출했다. 호주, 콩고, 멕시코 항구뿐만 아니라 마닐라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의 확장을 위해 자금을 활용한 것이다.
또 필리핀과 새로운 프로젝트를 진행하는 브라질의 토지 구매에 자금을 지출했다. 나머지 자금은 마다가스카르국제터미널서비스 기업의 할인 수수료를 정산하는데 사용된다.
엔리케 라존 ICTSI 회장은 다각화된 사업과 튼튼한 재정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불황을 이겨낼 수 있다고 설명했다. 더욱이 ICTSI가 운영하는 6개 대륙에서 기회를 탐색하면서 확장 프로젝트를 추진할 예정이다.
라존은 “거시경제 환경과 비즈니스에 미칠 수 있는 잠재적 영향을 염두에 두고 있다”며 “다양한 포트폴리오를 통해 리스크를 헤쳐나갈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말했다.
한편, ICTSI는 지난 7월 인도네시아 동자바주 라몽안에서 다목적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이스트 자바 디벨로프먼트를 인수했다. 인수액은 4,650만달러(약 634억 원)에 달했다.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
[기획-경제 FOCUS] 독일 2월 수출 ‘깜짝 상승’…제조업 침체는 여전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