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설탕 수출 제한을 연장했다. 글로벌 공급망 불안으로 고조되는 식량위기는 물론 최근 수요가 늘고 있는 바이오연료의 가격 상승에 대비한 결정이라는 해석이 힘을 얻고 있다.
인도는 세계 1위의 설탕 생산국이자 2위의 수출국이다. 블룸버그통신 등은 인도 정부가 지난 5월 결정한 설탕 수출 제한을 내년 2023년 10월 31일까지 이어걸 것이라고 보도했다. 단 설탕 수출의 완전 금지는 아니며 향후 1년 동안 수출 물량을 약 800만톤 선으로 제한한다는 것이다.
이번 조치는 EU와 미국으로 수출되는 설탕에는 적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인도의 수출 제한 조치는 글로벌 설탕 가격이 요동치는 등 시장 상황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올해 인도는 약 3600만톤의 설탕을 생산, 이중 약 1120만톤을 수출해 제1수출국이 됐다. 그러나 막대한 양이 해외로 빠지면서 국내에서 소비할 물량까지 부족해졌다는 지적이 이어졌다.
상황이 이렇자 설탕 가격은 올 한해 롤러코스터를 탔다. 전문가들은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세계 식량 공급망 불안을 지목했다.
여기에 수출1위 브라질 등에서 설탕 생산이 감소하는 등 악재가 겹치면서 결국 앞으로 1년간 수출량을 제한하는 조치를 연장하기로 결정했다는 설명이다.
여기에 더해 블룸버그 통신은 기사를 통해 브라질 등 국가의 바이오에탄올 수요가 늘어난 것을 수출 제한의 한 원인으로 해석했다.
블룸버그는 기사에서 "브라질 내에서 설탕을 이용해 에탄올 제조하는 공장이 빠르게 늘었다"며 "늘어나는 바이오에탄올 수요에 대한 기대감이 작용한 면이 없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실제로 브라질에서는 사탕수수를 활용한 에탄올 제조 공장이 급격히 늘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한편 인도는 식량 안보를 내세우며 잇따라 식품 수출 제한조치를 내렸다. 지난 8월 밀가루 수출을 제한한 인도는 9월 쌀 부스러기의 수출을 금지했으며, 일부 곡물 품종에 대해선 높은 수출관세를 부과한 바 있다.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
[기획-경제 FOCUS] 독일 2월 수출 ‘깜짝 상승’…제조업 침체는 여전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