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이한재 2025-03-31 13:00:37

美산 LNG 관세 5%→2%
에탄올 관세 전면 철폐
트럼프 ‘해방의 날’ 앞두고 대응
대미 무역흑자 1,235억 달러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HMM

베트남 정부가 미국과의 무역 불균형을 완화하고, 트럼프 행정부의 보복 관세 대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선제적인 관세 인하 조치를 단행했다.

베트남 재무부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가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수입 관세를 기존 5%에서 2%로 인하할 예정이다. 미국산 자동차와 에탄올, 일부 농산물에 대한 관세도 대폭 낮아진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미국 수입품에 대한 베트남의 관세 인하

美 무역 압박에 대응한 베트남의 ‘선제 카드’

베트남 재무부 조세정책국의 응웬 꾸옥 흥 국장은 “이번 조치는 무역 파트너와의 균형을 맞추고, 복잡하고 예측 불가능한 국제 정세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의 일환”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달 말까지 새로운 관세 법령이 확정되고 곧바로 시행에 들어갈 것이라고 설명했다.

흥 국장은 특히 미국산 에탄올에 대한 관세는 완전히 철폐되며, 닭다리살, 아몬드, 사과, 체리, 목재 제품 등 다양한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세율도 낮출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트럼프 ‘해방의 날’ 예고…베트남, 보복 관세 우려

베트남의 이번 조치는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해방의 날(4월 2일)에 맞춰 발표될 새로운 대중 무역 정책에 대한 우려 속에서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을 기점으로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선언한 바 있다. 미국 상무부와 재무부는 현재 구조적 무역 불균형과 관련한 종합 검토를 마친 상태다.

베트남의 대미 무역 흑자는 지난해 1,235억 달러로, 전년 대비 20%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중국, 멕시코에 이어 세계에서 세 번째로 높은 수치다.

특히 일부 중국 제조업체들이 미국의 대중 관세를 피해 베트남으로 생산 기지를 옮겼다는 점이 미국 당국의 경계를 사고 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베트남의 대미 무역 흑자(2018-2024년)

‘전방위 외교’ 나선 하노이, 美와의 관계 강화 총력

이러한 상황을 의식한 베트남 정부는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위한 ‘전방위 외교전’에 돌입했다.

이달 초, 응웬 홍 디엔 무역부 장관은 베트남 기업들과 함께 미국을 방문해 40억 달러 규모의 상업 계약을 체결했다. 여기에는 미국 GE사와 PetroVietnam 간 LNG 발전소 장비 공급 양해각서(MOU)도 포함됐다. 해당 발전소 두 곳은 오는 6월 가동을 시작할 예정이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HMM

현재 베트남은 미국산 LNG를 수입하고 있지 않지만, 향후 수입 가능성을 열어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베트남은 트럼프 대통령의 1기 집권 시절부터 미·베 전략적 협력 강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이어왔다.

미국 외교 전문가 조슈아 컬란직은 “베트남은 줄곧 미국과의 관계 강화를 조용히 추진해왔다”며 “최근의 관세 인하는 무역 갈등 회피를 위한 계산된 제스처”라고 분석했다.

하노이 정부는 이번 조치가 미국의 공격적 무역 정책에 대한 일종의 ‘보험’ 역할을 하길 기대하고 있다.

Copyright ⓒ 국제통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