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가 금, 백금, 은을 포함한 다양한 보석류 수출품의 제조 공정에서 허용되는 손실량을 대폭 축소했다.
인도 무역총국(DGFT)은 기계화 또는 비기계화 공정으로 제조된 순수 보석류 수출 시 중량에 따른 손실 비율을 금과 백금의 경우 기존 2.5%에서 0.5%로, 보석이 박힌 보석류의 경우 기존 5%에서 0.75%로 수정한다고 밝혔다.
DGFT는 "2023년 절차서 핸드북에 따른 보석류 수출 관련 허용 손실량 및 표준 투입 산출 규범이 수정됐다"고 말했다.
수출 제품에 사용된 금이나 은의 장식물과 부속물의 중량은 수출 제품의 순 금, 은 함량을 결정할 때 포함되지 않는다.
메달과 주화(법정 화폐 성격의 주화 제외)의 경우 허용 비율이 기존 0.2%에서 0.1%로 변경됐다.
DGFT는 또한 보석류 수출을 위해 허용되는 귀금속의 수량을 명시하는 표준 투입 산출 규범(SION)을 수정했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방글라데시, 세계은행과 8억5천만 달러 규모 금융 협정 체결…무역 확대 및 일자리 창출 가속
[기획-무역 FOCUS] 대만, 3월 수출 주문 530억 달러…ICT·전자 호조에 5개월 만에 반등
[기획-메르코스코프] 콜롬비아, 무역적자 급증…2월에만 12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