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의 3분기 매출은 10년 만에 최저를 찍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의 보고서는 선진국 시장에서 애플과 삼성전자를 비롯한 주요 브랜드의 수요가 8% 감소하며 전년 대비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3분기 매출은 지난 10년 동안 지속적으로 감소했다.
삼성전자와 애플은 각각 13%와 9%의 매출 감소를 보였다. 반면 중국의 화웨이는 미국 제재에도 불구하고 점유율이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다.
보고서는 3분기에는 전년 대비 감소했으나 2분기 대비 2% 증가한 것을 확인하며, 4분기에는 지난 2년 간의 감소세가 멈출 가능성을 제시했다.
특히 아이폰 15 시리즈의 출시는 선진시장의 매출 회복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또한, 인도의 축제 시즌, 중국의 광군제, 그리고 각지의 연말 판촉 활동이 스마트폰 시장의 회복세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됐다. 중동과 아프리카 지역은 이번 분기에도 성장세를 보이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에서 유일하게 성장한 지역이었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방글라데시, 세계은행과 8억5천만 달러 규모 금융 협정 체결…무역 확대 및 일자리 창출 가속
[기획-무역 FOCUS] 대만, 3월 수출 주문 530억 달러…ICT·전자 호조에 5개월 만에 반등
[기획-메르코스코프] 콜롬비아, 무역적자 급증…2월에만 12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