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의 2분기 경제가 10년 만에 수출량 증가세로, 경기 침체 국면에서 벗어나 회복세로 전환하고 있다.
뉴질랜드 통계청에 따르면, 수출량이 전 분기 대비 6.8% 증가해 2013년 4분기 이후 가장 가파른 상승세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량은 2.8% 감소했다. 이는 순 수출이 해당 분기의 국내총생산(GDP)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분석가들은 4~6월 기간 동안 일본이 미미한 경제 성장을 경험했다는 의견을 점점 더 많이 내놓고 있다. 이는 2022년 마지막 분기와 2023년 첫 분기에 기록된 연속적인 위축에 따른 것이다.
하지만 중앙은행의 전망을 포함한 일련의 전망은 올해 하반기 경제에 더블딥 경기 침체가 닥칠 수 있다. 지난달에는 소매 판매량이 예상보다 더 뚜렷하게 감소했다는 보고서가 발표됐다.
뉴질랜드 통계청은 유제품 수출이 19%나 급증한 것이 수출량 증가를 주도했다고 강조했다. 또한 다른 수출 부문도 성장세를 기록했다.
이러한 물동량 급증은 3분기 연속 수출 가격 상승을 상쇄하는 역할을 했지만, 중국의 경기 둔화는 글로벌 원자재 가격에 계속 압력을 가하고 있다.
무역 지표 측면에서 뉴질랜드는 분기 동안 0.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그러나 수입 가격 대비 수출 가격의 하락이 상대적으로 가속화되면서 전년 동기 대비로는 3.6% 하락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