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한국행 수출이 큰 폭으로 증가하는 가운데, 양국 간 전체 무역액은 약세를 보이며 감소하는 추세를 나타냈다.
캄보디아 관세청(GDCE)에 따르면 2023년 첫 7개월 동안 캄보디아의 한국 수출액이 21.6% 증가해 총 1억 6,47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러나 양국 간 무역은 전년 대비 8.3% 감소한 4억 4,710만 달러로 감소세를 보였다.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이 3억 5,200만 달러에서 2억 8,230만 달러로 19.8% 줄어든 것이 감소세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반면, 캄보디아의 무역 적자는 1억 1,760만 달러로 2022년의 2억 1,650만 달러에 비해 감소했다.
한국은 캄보디아의 12번째 주요 무역 동맹국으로 2023년 7월 한 달에만 무역 규모가 6.8% 증가해 7,060만 달러에 달했다. 이번 달 캄보디아 수출은 15.7% 증가한 4,86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하지만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8.8% 감소한 2,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캄보디아 왕립 아카데미의 경제 연구원 홍 반낙은 “수입 감소와 함께 수출이 증가한 것은 캄보디아의 생산 능력이 향상된 것을 의미한다”며 “한국으로의 수출에도 긍정적인 모멘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름 헹(Lim Heng) 캄보디아상공회의소 부회장은 캄보디아의 대한국 수출은 주로 의류, 신발, 여행용품, 농산물이 주를 이룬다고 언급하며 교역품의 특성을 강조했다. 반면 수입은 자동차, 농기계, 전자제품, 의약품, 식음료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캄보디아 국립은행은 2023년 3월 31일 기준 캄보디아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액이 약 458억 달러로 2022년 1분기 대비 9% 증가했다고 보고했다. 한국은 전년 동기 대비 10.4% 증가한 55억 달러를 투자해 2위를 차지하며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캄보디아 관세청의 2022년 무역 통계에 따르면 한-캄보디아 양국 간 무역액은 7억 7,890만 달러로 2021년 대비 0.6% 소폭 증가했다. 이 기간 캄보디아의 수출은 20.4% 증가한 2억 3,360만 달러로 증가한 반면 수입은 6 % 감소한 5억 4,530만 달러로 감소했다.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방글라데시, 세계은행과 8억5천만 달러 규모 금융 협정 체결…무역 확대 및 일자리 창출 가속
[기획-무역 FOCUS] 대만, 3월 수출 주문 530억 달러…ICT·전자 호조에 5개월 만에 반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