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무역기구(WTO) 사무총장 응고지 오콘조이웨알라는 27일(현지시각)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WTO 연례 포럼에서 “글로벌 경기침체가 다가오고 있다”면서 “경제성장을 회복할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우크라이나 전쟁, 에너지·식량 위기, 기후위기, 코로나 대유행 여파 등이 복합적으로 글로벌 경기 침체의 조건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진단했다.
오콘조이웨알라 사무총장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을 하향 조정했으며 무역 지표 또한 좋아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각국의 중앙은행은 금리를 올려 인플레이션에 대응하는 것 외에는 선택의 여지가 많지 않은데, 물가 상승 요인을 중앙은행이 판단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WTO는 올해 글로벌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또 낮출 계획임을 시사했다. 오콘조이웨알라 사무총장은 이날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모든 무역 관련 지표가 (성장률) 하락세를 가리키고 있다”면서 “현재 무역 성장률 전망을 수정 중”이라고 언급했다. WTO는 지난 4월에 이미 올해 세계 무역 성장률 전망치를 4.7%에서 3%로 낮춘 바 있다. 당시 발표한 내년 무역 성장률 전망치는 3.4%였다.
경기 침체가 다가오고 있다는 사무총장의 경고에 따라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은 향후 경제 성장을 회복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할 것으로 예상된다. 무역 지표의 하락세와 더불어, 인플레이션 대응을 위한 금리 인상 등 다양한 대응 전략을 검토해야 할 상황이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와 중앙은행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글로벌 경제 침체와 더불어 식량 위기, 에너지 부족 등 다양한 위기 요인들이 겹쳐, 급변하는 경제 상황에 적절한 대응 전략을 세우는 것이 필수적이다. 각국 정부는 이러한 위기 요인들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국내 경제의 안정과 회복을 위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코로나 대유행과 기후변화와 같은 글로벌 이슈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국제 협력이 필요하다. 각국 정부와 국제기구의 협력을 통해 경제 회복을 위한 지속 가능한 정책을 구축하고, 세계 경제의 불안정성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익명의 WTO 관계자는 "무역의 성장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무역 질서의 개선과 투명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각국은 자유무역을 촉진하고 무역 장벽을 낮추는 정책들을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