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 간 무역이 1분기에 3억 4,000달러를 기록했다.
최근 캄보디아 관세청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인도네시아와 진행한 무역액이 전년 동기 대비 43.2% 증가했다.
무역 증가는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의 양국 간 직항 노선 취항과 맞물려 무역뿐만 아니라 관광, 투자 및 기타 경제 활동도 향상될 것으로 기대됐다.
1분기 동안 아세안 최대 경제국인 인도네시아에 대한 캄보디아의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74% 증가한 1,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인도네시아로부터 캄보디아로의 수입은 2억 9,200만 달러로 42% 증가했다.
양국은 인도네시아 시장에서 캄보디아 농산물을 홍보하는 것을 포함해 무역, 투자 및 관광 분야에서 추가 협력을 논의했다.
인도네시아 에어아시아는 4월 10일 자카르타-프놈펜 직항 노선을 취항했으며, 관광객 방문이 계속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임 헹(Lim Heng) 캄보디아 상공회의소 부회장은 관광객 유치와 비즈니스 여행 활성화를 위해 직항편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판 소라삭 캄보디아 상무부 장관은 3월 인도네시아 관리들과의 회의에서 인도네시아에 쌀, 카사바, 캐슈넛, 망고 등의 농산물을 수입할 것을 촉구했다.
또한 인도네시아 투자자들에게 정미소 설립과 카사바를 의약품으로 가공하는 등 농업 관련 벤처에 대한 투자를 고려할 것을 권유했다. 인도네시아 측은 양국 간 교역, 투자, 관광 활성화를 위해 협력을 강화해 나가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