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의 코코아 수입이 빠르게 늘고 있다. 키호품인 코코아의 수입량 증가는 코로나19 이후 사우디의 지역 경제가 빠르게 정상화하고 있는 증거로 풀이된다.
아랍 지역 언론들의 보도에 따르면 사우디는 올해 1분기에 3만7000톤의 코코아를 수입했으며 2022년 전체 구매량을 빠르게 넘어설 수 있다.
작년에 사우디는 12만 7,000톤 이상의 코코아를 수입했는데, 이는 사우디가 2023년 첫 3개월 동안 이미 전체의 3분의 1 이상을 수입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역 언론들은 올해 이슬람교의 성월인 라마단과 그 기간의 폐막을 축하하는 이드 알피트르의 소비가 상당히 증가했다고 보도했다.
라마단 기간 동안 이슬람교도들은 일출부터 일몰까지 금식을 하지만 해가 진 후에는 집단적이고 푸짐한 식사를 하여 음식 소비를 증가시킨다.
사우디의 상점과 슈퍼마켓들은 수입되거나 현지에서 생산되는 다양한 종류의 사탕과 초콜릿을 제공한다.
스타티스타에 따르면 사우디 사탕과 초콜릿 부문은 2023년 50억 달러의 매출을 올리고 전년 대비 3.25%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1인당 평균 소비량은 연간 19kg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된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