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대(對)한국 수출이 지난해 12월 발효된 자유무역협정(FTA)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
최근 발표한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1~3월까지 캄보디아의 대한국 수출액은 1억 3,000만 달러로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17.2% 증가했다. 그러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억 4,000만 달러로 28% 감소했다.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 품목은 신발, 의류, 여행용품, 음료, 전기 및 전자 부품, 고무, 의약품, 농산물 등이다. 반대로 캄보디아는 한국으로부터 자동차, 전자제품, 주방용품, 음료, 의약품, 플라스틱 완제품 및 제품을 수입했다.
이번 달 아운 폰모니로스(Aun Pornmoniroth) 캄보디아 재무부 장관은 박정욱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와 면담에서 양국 간 무역 관계의 성장을 무역협정과 이중과세방지협정 덕분이라고 언급했다.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CKFTA)에 따라 한국은 캄보디아에서 수입하는 제품의 95.6%에 대한 관세를 철폐했다. 게다가 캄보디아는 수입품의 93.8%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합의하며 교역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됐다.
캄보디아 상공회의소(CCC)의 림 헝(Lim Heng) 회장은 이번 FTA가 캄보디아 제품과 농산품에 대한 시장 접근성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캄보디아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유무역협정이 캄보디아 제품에 대한 더 많은 시장을 개척하고 생산 및 수출을 위한 투자를 유치하여 양국 정부가 계획대로 무역 교류를 촉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