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대(對)한국 수출이 지난해 12월 발효된 자유무역협정(FTA)에 힘입어 크게 증가했다.
최근 발표한 한국무역협회(KITA)에 따르면, 1~3월까지 캄보디아의 대한국 수출액은 1억 3,000만 달러로 2022년 같은 기간에 비해 17.2% 증가했다. 그러나 한국으로부터의 수입은 1억 4,000만 달러로 28% 감소했다.
캄보디아의 주요 수출 품목은 신발, 의류, 여행용품, 음료, 전기 및 전자 부품, 고무, 의약품, 농산물 등이다. 반대로 캄보디아는 한국으로부터 자동차, 전자제품, 주방용품, 음료, 의약품, 플라스틱 완제품 및 제품을 수입했다.
이번 달 아운 폰모니로스(Aun Pornmoniroth) 캄보디아 재무부 장관은 박정욱 주캄보디아 한국 대사와 면담에서 양국 간 무역 관계의 성장을 무역협정과 이중과세방지협정 덕분이라고 언급했다.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CKFTA)에 따라 한국은 캄보디아에서 수입하는 제품의 95.6%에 대한 관세를 철폐했다. 게다가 캄보디아는 수입품의 93.8%에 대한 관세를 철폐하기로 합의하며 교역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됐다.
캄보디아 상공회의소(CCC)의 림 헝(Lim Heng) 회장은 이번 FTA가 캄보디아 제품과 농산품에 대한 시장 접근성을 제공했을 뿐만 아니라 캄보디아에 대한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했다고 말했다.
그는 자유무역협정이 캄보디아 제품에 대한 더 많은 시장을 개척하고 생산 및 수출을 위한 투자를 유치하여 양국 정부가 계획대로 무역 교류를 촉진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