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UAE)와 베트남이 오늘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협상을 위한 상호의향서에 서명했다.
베트남 대표단이 UAE를 공식 방문한 가운데 타니 빈 아흐메드 알 제유디(Thani bin Ahmed Al Zeyoudi) 대외무역부 장관과 응웬 홍 디엔(Nguyen Hong Dien) 베트남 산업통상부 장관이 이 문서에 서명했다.
알 제유디 장관은 서명식에서 경제와 무역을 중심으로 모든 분야에서 지속적인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UAE와 베트남의 뿌리 깊은 관계를 강조했다.
그는 아랍 지역 내 베트남의 주요 무역 파트너인 UAE는 베트남과 아랍 지역 국가 간 무역의 39%를 차지하고 있으며, 2022년 비석유 부문 교역액이 294억 아랍에미리트디르함(미화 80억 달러)에 달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또한 휴대폰과 액세서리를 제외한 상품 교역이 증가하여 2019년에는 36% 미만이었던 것에 비해 현재는 46%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2021년 대비 9% 증가한 135억 아랍에미리트 디르함(AED)을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이어서 알 제유디는 베트남이 2022년 동아시아에서 UAE의 주요 무역 파트너이자 UAE가 CEPA 체결을 목표로 하는 국가 중 하나이기 때문에 CEPA를 통해 베트남과의 경제 및 무역 파트너십을 강화하고자 하는 UAE의 열의를 강조했다.
양측은 무역, 투자, 신경제, 산업, 에너지, 물류, 농업 및 인프라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알 제유디는 또한 베트남 대표단에게 관련 법률 개정, 외국인 프로젝트 완전 소유 허용, 사업 시작 절차 간소화 등 다양한 상업 부문에 유망하고 매력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UAE의 최근 성과에 대해 브리핑했다.
그는 또한 베트남 비즈니스 커뮤니티가 외국 기업의 베트남 시장 진출을 촉진하는 등 포괄적인 지원과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차세대 외국인직접투자 이니셔티브의 혜택을 누리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응웬 총리는 양국 간 무역 교류를 늘리고 상호 투자를 장려하는 데 도움이 될 포괄적 경제동반자 협정(CEPA) 협상 개시로 이어질 상호 의향서에 서명한 것에 대해 기쁘게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한 무역, 투자 및 물류 허브로서 UAE의 국제적 위상을 높이 평가하며 베트남이 여러 주요 산업의 중심지가 되었다고 덧붙였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