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이 올해 1분기 동안 9억 달러가 넘는 170만톤의 쌀을 수출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수량이 19%, 가치가 30% 증가했다.
베트남 산업통상부(MoIT)는 최근 베트남 쌀이 품질과 수요에서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강조했다. 베트남 농업농촌개발부 레탄뚱(Lê Thanh Tùng) 부국장은 올해 메콩강 삼각주의 쌀 생산량만 2,400만톤에 이를 것으로 추산했다.
대부분의 수출 쌀은 메콩강 삼각주에서 경작됐다. 베트남 국내 소비량은 약 1,100만톤이며 1,300만톤의 수출이 가능하다.
베트남 식품협회(VFA)는 올 2분기 중 필리핀, 중국, 아프리카 등 주요 시장에서 베트남 쌀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응우옌 응옥 남(Nguyen Ngoc Nam) 베트남 식품협회 회장은 증가하는 수요의 원인을 세계 경제의 불확실한 전망과 식량을 비축하고 있는 국가들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유럽연합(EU)-베트남 자유무역협정(EVFTA) 등 자유무역협정(FTA)으로 베트남산 쌀에 대한 관세가 톤당 최대 175유로 인하돼 유럽 시장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하지만 수요 급증에도 불구하고, 수출업자들은 농부들로부터 더 많은 쌀을 구입하기 위해 자본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판반찐(Pan Van Chinh) 산업통상부의 수입‧수출 부서 책임자는 물류 비용을 최소화하고 국제 시장의 수출입 프로토콜을 해결하기 위해 수출업체와 협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 부처는 향후 식량 안보를 보장하기 위해 쌀 수출량을 감시할 계획이다.
베트남 중앙은행(SBV)은 쌀 무역업자들이 추가 자본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시중은행에 차입 절차를 검토하고 간소화하라고 지시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