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라크가 글로벌 세관 협약인 TIR 협약의 78번째 가입국이 되었다.
오이가 알게요바 UNECE 사무총장은 언론에 이라크의 협약 가입을 알리면서 "이라크가 물류 협약에 가입한 지 일주일 만에 TIR 협약에 가입한 것을 축하하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는 중동 전역의 효율적인 무역 절차를 통해 경제 성장을 발전의 원동력으로 육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를 열어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로써 이라크는 인도, 파키스탄, 중국을 포함한 유럽, 아시아 전역의 시장과 연결되어 더 효율적이고 안전한 상품 흐름을 실현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TIR 협약은 1975년 UNECE에 의해 설립됐으며 현존하는 유일한 글로벌 세관 통과 시스템이다.
현재 3만 4,000곳 이상의 운송 및 물류 회사가 사용하는 TIR 시스템은 국경 간 운송 시간을 최대 80%까지 단축하고 비용을 최대 38%까지 절감해준다는 평가다.
이라크의 이웃 국가인 이란, 요르단, 쿠웨이트, 시리아 아랍 공화국, 사우디아라비아, 튀르키예도 TIR 협약의 계약 당사국이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