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악의 강진을 겪은 튀르키예가 비극을 딛고, 사상 최고치의 수출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이웃 시리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친 지난 2월 지진은 튀르키예에서 5만 명 이상의 사망자와 광범위한 기반 시설 피해를 초래했다.
튀르키예 수출자총회(TIM)에 따르면, 가장 큰 타격을 입은 11개 지방의 3월 수출액은 약 16억 달러에 달하며, 2월의 약 9억 8,000만 달러에 비해 63.3% 증가했다.
지진으로 튀르키예의 수출은 몇 달 동안 중단됐다. 하지만 3월 수출은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236억 달러를 기록하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메흐메트 무스(Mehmet Muš) 튀르키예 통상부 장관은 동남부 지방이 2022년 튀르키예 수출의 8.6%를 차지했다고 언급했다. 그는 재해가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지속됐지만 강도는 감소했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11개 지방 중 9개 지방의 수출이 3월에 반등했다. 특히 하타이의 매출은 전월 대비 115% 가까이 증가한 3억 달러에 달했고 말라티아와 가지안테프의 수출은 각각 103.2%, 76.5% 급증한 3,500만 달러와 9억 1,410만 달러를 기록했다.
◆ 중요 항구 및 인프라 파괴...,1,000여개 컨테이너 불길 속으로
지진이 일어나기 전 튀르키예는 꾸준한 무역 성장세를 보였다. 튀르키예는 주요 수출 품목으로 자동차, 섬유, 철강, 석유 제품, 화학 제품 및 전자 제품 등 이다.
주로 유럽연합, 미국, 중동 및 아시아 지역과 활발한 무역 관계를 유지했다. 특히 튀르키예의 무역 흑자는 2021년 기준으로 빠르게 성장하며 경제 발전의 중요한 원동력으로 작용했다.
이러한 무역 활동은 튀르키예의 경제 성장과 고용 창출에 기여했으며, 중동 및 유럽 지역에서 중요한 무역 파트너로 각광받을 수 있었다.
앞서 지진은 하타이 이스켄데룬 지역의 중요한 항구를 파괴하는 화재를 일으켰다. 1,000개가 넘는 컨테이너가 불길에 휩싸여 불길이 잡혔습니다. 영향을 받은 지방은 농업 GDP의 약 15%를 차지하고 있으며, 튀르키예 농산물 수출의 약 20%에 기여하는 중요한 농업 지역이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이 재앙이 1,573만 명의 사람들과 그 나라 식량 생산량의 20% 이상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고했다. 이에 따른 피해는 아직 복구 중이다.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