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와 이집트가 통상 교류를 더욱 확대해 75억 달러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세계 식량위기 등 글로벌 공급망에 충격이 이어지면서 인도와 중동-걸프지역의 관계가 더욱 긴밀해지고 있다는 해석이 나온다.
이집트 카이로 주재 인도 대사 아지트 굽티는 향후 양국의 통상교류를 75억 달러 규모로 확대할 것을 강조했다.
아스완 총독 아슈라프 아티아를 만난 자리에서 굽티 대사는 양국의 태양 에너지, 농업, 산업 등 분야에서의 여러 투자 프로젝트를 강화할 것을 제안했다.
또한 굽티 대사는 2023년 3월 27일 어퍼이집트 아스완 인근 벤반 솔라파크에서 인도 기업 스털링 앤드 윌슨이 개발한 250메가와트급 벤반 태양광 프로젝트를 시찰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인도의 대 이집트 수출 규모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인도는 밀 수출 금지령을 내린 작년에도 이집트에 대한 밀 수출을 예외로 적용한 바 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