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가 태국과 교역량 150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한 방향성에 대해 논의했다.
판 소라삭(Pan Sorasak) 캄보디아 상무부 장관은 태국 방콕에서 열린 ‘캄보디아 2023년 미래 무역 및 투자 기회 방향’ 워크숍에서 기조연설을 했다. 그는 2050년까지 150억 달러 규모의 캄보디아-태국 양자 교역량 목표 달성을 위해 이해관계자들이 노력할 것을 촉구했다.
이번 행사는 코로나19 사태 이후 캄보디아의 경제 상황과 무역 및 투자 전망에 대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개최됐다. 소라삭 장관은 캄보디아의 무역 및 투자 기회에 대한 관련 정보를 찾는 태국 투자자들을 위한 워크숍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무역협정의 혜택을 받기 위해 특히 순환 경제 및 농업 부문에서 투자를 탐색하고 확장할 것을 권장했다.
캄보디아 장관은 태국 상공회의소, 캄보디아 상공회의소(CCC)의 협력을 통해 민간 부문 교류를 촉진하고 양국 간 무역 및 투자 활동을 심화시킬 것을 요청했다.
또 대유행, 무역 및 기술 전쟁, 지정학적 긴장 및 기후 변화 등 글로벌 위기 속에서 기회를 잡아 사회 경제적 발전을 위한 정책을 실시할 것을 약속했다.
아울러 아세안(ASEAN), 중국, 한국,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와의 자유무역협정을 포함한 유리한 조건들을 강조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