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 차의 대중국 수출액이 약 4배 증가했다.
베트남 세관에 따르면, 1~2월 두 달 간 중국은 베트남에서 426톤의 차를 수입했다. 수입량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121%의 증가했으며 가치도 411.2% 증가한 수치다.
2월의 평균 차 수출 가격만 10% 이상 오른 톤당 1,641달러를 기록했다. 베트남 산업부는 코로나19 대유행에 따른 중국의 국경 개방으로 차 수출이 크게 늘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파키스탄에 대한 차 수출도 증가 추세를 보이며 전년 대비 5.8% 증가한 940만 달러(약 122억 원) 상당의 5,300톤에 달했다.
대만은 베트남의 두 번째로 큰 차 소비국이지만, 두 달 동안 소폭 감소했다. 베트남은 240만 달러(약 31억 원) 상당의 1,500톤을 시장에 수출해 전년 대비 8.1% 감소했지만 3.8% 증가했다.
러시아, 인도네시아, 미국으로의 차 수출이 크게 감소한 반면 이라크, 중국, 사우디아라비아와 같은 다른 시장으로의 수출은 크게 증가했다.
전체적으로 베트남은 2,260만 달러(약 293억 원) 상당의 1만 3,600톤의 차를 수출해 작년 같은 기간에 비해 7.9%, 3.1% 감소했다. 그러나 제품의 평균 수출 가격은 톤당 1,643달러 이상으로 5.2% 상승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