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금리 인상 이후 중국 위안화 약세가 급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가 위안화 약세로 중국 수출 기업의 혜택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한다고 보도했다. 이는 환율보다 글로벌 수요의 둔화가 중국 무역에 더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올해 1∼8월 중국산 전기담요와 히터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지만, 중국 전체 수출 실적 개선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못했다.
이코노미스트 인텔리전스 유닛(EIU)의 닉 마로 이코노미스트는 글로벌 수요 약화로 인해 중국 상품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글로벌 레이팅스의 루이스 쿠이츠 분석가는 무역 전망이 환율보다 글로벌 수요에 더 좌우되기 때문에 위안화 약세가 중국 수출을 크게 신장시키지 못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다만, 쿠이츠 분석가는 달러를 제외한 주요국 통화 가치의 하락으로 인해 중국 수출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해상 운임이 최근 급격히 떨어진 것도 글로벌 수요 약화를 반영하고 있다.
중국 상무부 부부장 왕숴원은 앞으로 6개월 전망이 밝지 않다며 중국뿐만 아니라 동남아 등 다른 나라에서도 외부 수요 감소를 느낄 것이라고 말했다.
핀포인트자산의 장즈웨이 이코노미스트는 중국이 장기적으로 오프쇼어링 위험을 인지하고 외국 투자에 우호적인 환경을 보장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