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의 인플레이션이 둔화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수요일에 발표된 정부 데이터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의 인플레이션은 식품과 교통비용이 낮아져 2월에는 3%로 둔화되었다. 이는 1월의 3.4%와 비교해 보았을 때 더 낮은 수치다.
월간 소비자 물가 지수(CPI)는 식품 가격이 0.7%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통비용 또한 2월에 전월 대비 0.5% 하락했다.
그러나 연간 기준으로 인플레이션은 2022년 2월의 1.6%에 비해 높았다. 식품 및 음료 바구니는 3.1% 상승했으며 비식품 바구니는 연간 기준 7% 상승했다.
사우디아라비아 통계청은 "2023년 2월에 주택 임대료가 실제로 8.3% 상승하여 아파트 임대료가 21.4% 상승한 것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컨설팅 업체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인플레이션의 점진적인 완화가 시작되었다고 말하고 있으며, 올해 말까지 연간 기준 1.5-2.0%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캐피털 이코노믹스 측은 인플레이션 위험이 하향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남은 기간 동안 인플레이션이 지속적으로 완화될 것"이라며 "올해 말까지 소비자 물가 상승률이 1.5~2.0%에 이를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기획-메르코스코프] 우루과이 4월 수출 4% 증가…서비스 산업 비중 ‘뚜렷’
태국 중앙은행 총재 “미국 관세 충격 대비, 정책 여력 제한적… 경제는 위기 아냐”
[기획-무역 FOCUS] 대만 4월 수출 29.9% 급증…사상 두 번째 규모 기록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