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가 작년 2월 이후 가장 높은 수출액을 기록했다.
멕시코 통계청(INEGI)에 따르면, 지난 1월 수출액이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5.6% 증가해 425억 9,000만 달(약 55조 9,845억 원)러를 기록했다. 비석유 수출 수익이 전체의 93.6%인 398억 8,000만 달러(약 52조 4,222억 원)였고 석유 수출은 27억 1,000만 달러(약 3조 5,622억 원)에 달했다.
공산품은 수출 수입의 가장 큰 부분을 차지했다. 연간 기준으로 28.3% 증가한 373억 2,000만 달러(약 49조 571억 원)로, 비석유 총액의 93% 이상을 차지했다.
자동차 수출은 136억 달러(약 17조 8,772억 원)로 2022년 1월 대비 가치가 64.9% 급증했고, 기타 공산품은 전년 동기 대비 13.8% 증가한 237억 달러(약 31조 1,536억 원)의 수익을 올렸다.
주류를 포함한 농산물 수출은 9.8% 증가한 19억 달러(약 2조 4,975억 원), 광업 수출은 9.6% 증가한 6억 5,500만 달러(약 8,609억 원)를 기록했다. 석유 수출은 8.9% 증가한 27억 달러(약 3조 5,491억 원)를 기록했다.
전체 수출액은 작년 12월에 비해 6% 조금 넘게 증가했다. 세계은행(WB)은 올해 경제성장률을 멕시코 0.9%, 미국 0.5%, 전 세계 1.7%로 전망하고 있다.
멕시코의 수입도 1월에 467억 1,000만 달러(약 61조 4,002억 원)로 16.3% 증가했다. 결과적으로 멕시코는 올해 첫 달에 41억 2,000만 달러(약 5조 4,157억 원)의 무역 적자를 남겼다. 비록 적자가 났지만 2022년 1월 기록한 62억 8,000만 달러(약 8조 2,550억 원)보다 34% 낮은 수치다.
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멕시코 대통령은 멕시코의 연료 수입 의존을 줄일 심상이다. 이에 새로 건설된 올메카 정유소가 올해 중반까지 풀가동될 예정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멕시코가 연료 수입을 중단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라고 평가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