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의 쌀 수출 제한령 탓에 약 100만t에 가까운 쌀이 항구에 묶였다.
앞서 인도 식량부는 싸라기 쌀 수출을 금지하고 이외 쌀에는 관세 20%를 부과했다. 비가 많이 내려야 하는 몬순 시기에 평균 수준 이하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쌀 공급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쌀 수출업체들은 격렬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5개 쌀 수출업체가 이에 대한 반발로 적재한 물건 하역을 거부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인도 항구에는 약 75만t의 흰쌀이 쌓여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크리슈나 라오 인도쌀수출연합(AIREA) 회장은 “바이어들은 20%나 높아진 관세를 감당할 여력이 없다”며 “우리는 하역을 중단하는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인도는 안드라 프라데시, 카키나다, 비샤카파트남 등 동부 항구로 매달 200만t에 가까운 쌀을 수출하고 있다.
싸라기 쌀은 중국과 세네갈, 아프리카의 지부티 공화국 등으로 수출되고 있다. 흰쌀은 서아프리카의 베냉, 스리랑카, 터키, 아랍에미리트 등이 주 고객이다.
AIREA는 인도 정부에 총 75만t의 흰쌀과 50만t의 싸라기 쌀에 대한 과도한 규정을 완화할 것을 요청했다.
인도 최대 쌀 수출기업 중 하나인 사티암 발라지의 히만슈 아가왈 전무는 “쌀 수출로 남는 이윤이 너무 부족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이미 발행된 신용장(LC)에 대해 수출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싱가포르 2분기 성장률 4.3%…미국 관세 유예 효과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