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정부의 쌀 수출 제한령 탓에 약 100만t에 가까운 쌀이 항구에 묶였다.
앞서 인도 식량부는 싸라기 쌀 수출을 금지하고 이외 쌀에는 관세 20%를 부과했다. 비가 많이 내려야 하는 몬순 시기에 평균 수준 이하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쌀 공급이 불안정해졌기 때문이다.
이에 쌀 수출업체들은 격렬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5개 쌀 수출업체가 이에 대한 반발로 적재한 물건 하역을 거부하고 있다고 전했다.
현재 인도 항구에는 약 75만t의 흰쌀이 쌓여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크리슈나 라오 인도쌀수출연합(AIREA) 회장은 “바이어들은 20%나 높아진 관세를 감당할 여력이 없다”며 “우리는 하역을 중단하는 수밖에 없었다”고 말했다.
인도는 안드라 프라데시, 카키나다, 비샤카파트남 등 동부 항구로 매달 200만t에 가까운 쌀을 수출하고 있다.
싸라기 쌀은 중국과 세네갈, 아프리카의 지부티 공화국 등으로 수출되고 있다. 흰쌀은 서아프리카의 베냉, 스리랑카, 터키, 아랍에미리트 등이 주 고객이다.
AIREA는 인도 정부에 총 75만t의 흰쌀과 50만t의 싸라기 쌀에 대한 과도한 규정을 완화할 것을 요청했다.
인도 최대 쌀 수출기업 중 하나인 사티암 발라지의 히만슈 아가왈 전무는 “쌀 수출로 남는 이윤이 너무 부족한 상황”이라며 “정부는 이미 발행된 신용장(LC)에 대해 수출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기획-무역 FOCUS] 싱가포르 3월 수출 5.4% 증가…예상치 밑돌며 경기 우려 증폭
[기획-ASEAN트레이드] 말레이 1분기 성장률 4.4%…내수 회복 속 ‘선방’
[기획-ASEAN트레이드] 인니, 대미 무역 흑자 조정 나서…“수입 확대해 관세 피한다”
[기획-메르코스코프] 에콰도르, 14개월 연속 무역 흑자… 비석유 수출이 견인차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쌀 수출가 1위 탈환… 프리미엄 시장 공략 본격화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