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의 1월 무역 성적이 전년도에 비해 29% 감소한 34억 달러(약 4조 3,163억 원)를 기록했다.
캄보디아 관세청에 따르면, 수출은 14% 감소해 15억 달러(약 1조 9,042억 원)를 기록했으며 수입은 37.5% 감소해 19억 달러(약 2조 4,120억 원)였다.
캄보디아의 최대 시장은 여전히 미국이었으며 1월 수출액이 5억 6,200만 달러(약 7,134억 원)로 전체의 37%를 차지했다. 그러나 전년 대비 23% 감소해 우려가 커지고 있다.
다른 주요 시장은 베트남과 태국으로 각각 총 수출액은 1억 7,200만 달러(약 2,183억원)와 1억 700만 달러(약 1,358억 원)였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은 8억 9,100만 달러(약 1조 1,306억 원)를 기록했다.
현재 캄보디아는 무역적자 시기를 헤쳐나가기 위해 아랍에미리트(UAE) 외에도 더 많은 국가와 FTA를 진행하고 있다. 캄보디아-중국 FTA와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는 올해 초 발효됐다. 캄보디아-한국 FTA는 작년 12월 초에 발효됐다.
림헹(Lim Heng) 캄보디아 상공회의소 부회장은 “FTA로 캄보디아 수출 성장에 박차를 가해 더 많은 투자를 유치해야 한다”며 “무역 규모를 늘리고 더 많은 수출 기회를 창출 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