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보석 수출이 아랍에미리트와 인도의 CEPA로 때아닌 호황을 맞고 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으로 러시아산 다이아몬드 가공품 수출 판로가 막혔던 인도 보석계에 있어선 가뭄에 단비라는 목소리가 나온다.
뉴델리의 상공부는 2022년 5월에 아랍에미리트와 CEPA를 맺었다. 인도 보석·보석류 수출촉진협의회(GJEPC) 의장인 위풀 샤에 따르면, UAE-인도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CEPA)은 이번 회계연도에 인도의 보석 및 보석 수출을 8.26% 증가시켰다.
샤 의장은 2023년 인도 최초의 디자인 중심 보석 전시회 개막식에서 "UAE-인도의 CEPA에 힘입어 인도의 올해 전체 보석 및 보석 수출은 작년에 비해 8.26%의 성장을 보였다"며 "회계연도 마지막 분기는 올해 목표인 457억 달러를 달성하기 위해 강력한 성장을 요구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인도의 현재 회계 연도는 3월 31일에 끝나며, 이번 분기가 마지막 분기가 된다. 인도 국제 주얼리 쇼와 인도 보석 및 주얼리 기계 박람회가 현재 뭄바이에서 진행 중이다.
그는 또한 "UAE-인도 CEPA 외에도 호주와의 자유무역협정(FTA)이 가동됐다"며 "올해 두 개의 FTA가 더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인도 상무부가 설립한 보석·보석류 수출촉진협의회는 사우디 대표단이 GJEPC 전시회에 참석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UAE,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즈니스 대표단이 뭄바이에서 열리는 행사에 참석하고 있으며, 사우디 대표단에는 18명의 주요 구매자가 있다.
아누프리야 파텔 인도 상무산업부 장관은 이날 행사에서 "전자상거래를 통한 보석 및 보석 수출에 대한 간소화된 규제 프레임워크의 이행, 다이아몬드 수입 관세 인하, 새로운 촉진화 정책 등 수출 촉진에 전념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는 전세계에서 유통되는 다이아몬드의 80∼90%를 가공할 정도로 보석 수출 강국이다. 그러나 올해 주력 수출품인 러시아산 다이아몬드 가공품의 수출이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경제제재로 막히면서, 다이아몬드계 수출이 25%나 격감하는 피해를 입은 바 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