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가 삼림벌채와 관련한 국가의 팜유의 수입을 제한하는 조치를 내리면서 주요 수출국인 말레이시아가 반발하고 있다.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팜유 생산국인 말레이시아는 금요일 유럽연합(EU)이 27개국 블록에서 삼림벌채와 관련된 상품의 판매를 금지하는 새로운 법이 팜유의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성토했다.
이달 초 EU는 기업들이 산림파괴에 관련한 국가의 수입에 대해 관여할 경우 막대한 벌금을 물어야 한다는 내용의 실사 보고서 채택에 합의했다.
이 보고서는 콩, 쇠고기, 팜유, 목재, 코코아, 커피와 일부 파생 제품에 적용될 예정이다.
이에 말레이시아의 파딜라 유수프 부총리 겸 상무부 장관은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에 영향을 미치고, 글로벌 공급망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성명에서 "탈산 금지 제품 규제는 시장 접근을 막고, 소규모 농부들에게 피해를 주고, 비효율적이고 팜유 가격과 경쟁할 수 없는 국내 기름 종자 시장을 보호하기 위한 유럽의 의도적인 행동"이라고 말했다.
쿠키부터 화장품, 연료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만드는 데 사용되는 팜유는 세계에서 가장 저렴한 식물성 기름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그 재배가 광범위한 삼림벌채의 원인이라고 비난해왔다.
미할리스 로카스 말레이시아 주재 EU 대사는 수요일 팜유 이사회에 대한 답변에서 팜유 금지 주장은 사실이 아니며 오해의 소지가 있다고 말했다.
로카스는 "삼림벌채와 관련이 없고 합법적으로 생산된 팜유는 EU 시장에 계속 수입될 것"이라고 말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의 많은 팜유 회사들은 이미 세계적이고 국가적인 지속가능성 인증 기준을 채택했고 삼림벌채 금지정책에 전념하고 있다고 반박했다.
유소프 장관은 이 규제가 말레이시아 수출업자들에게 추가적인 부담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만약 팜유나 국가 중 하나가 EU 규정에 의해 고위험으로 지정된다면 말레이시아에 모욕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새로운 법은 팜유 기반 연료를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폐지하도록 요구하는 유럽 연합의 재생에너지 지침 위에 있다. 그 결과, 유럽연합의 팜유 수입은 최근 몇 년째 줄고 있는 상황이다.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월 무역적자 4년 만에 최저…수출 회복세 뚜렷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美관세 우려에도 수출 질주…지난 1월 무역흑자 8.4억 달러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코트디부아르, 코코아 수출 130만 톤으로 감축… “기후·병해에 구조적 타격”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도, 양파 수출관세 전격 폐지…"농가 지원·수출 확대 기대"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수출 8개월 연속 상승…2월에도 깜짝 성장
[기획-무역 FOCUS] 대만, AI 수요 타고 수출 주문 '껑충'…예상치 훌쩍 넘겼다
[기획-MENA 다이버전스] 이란, 아프리카 무역 확대…서아프리카 해운 노선 신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