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캄보디아, FTA 통해 봉제품 수출판로 확대

이한재 기자 2022-12-23 00:00:00

전체 캄보디아산 봉제품(의류, 신발, 여행상품 등)의 30%는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패션레볼루션캄보디아
전체 캄보디아산 봉제품(의류, 신발, 여행상품 등)의 30%는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패션레볼루션캄보디아

미국 시장을 중점으로 뒀던 캄보디아의 봉제품 수출업계가 최근 체결된 무역협정(FTA)를 통해 다양한 국가로 수출 저변을 넓혀나가고 있다. 

봉제 산업은 캄보디아에서 거의 유일한 2차 산업이다. 봉제산업 고용 인원은 약 70만 명으로 추산되며 2차 산업 총 고용의 약 50%에 해당한다. 부가가치 창출 면에서도 41%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캄보디아 노동직업훈련부에 따르면, 작년 전체 캄보디아산 봉제품(의류, 신발, 여행상품 등)의 30%는 미국으로 수출되고 있다. 작년 캄보디아산 봉제품의 총 수출액은 113억 9,000만 달러(약 14조 5,507억 원)로 전년 대비 15.2% 증가했다.

최근 캄보디아 유럽상공회의소와 봉제품협회(TAFTAC), 국제노동기구(ILO)가 공동으로 진행한 ‘봉제품 산업 개발 전략 2022-2027’ 프로젝트는 EU 시장 개척을 중점적으로 설명했다. 

후읏 뿜(Huot Pum) 캄보디아 재경부 차관보는 고급 봉제품 생산 투자 촉진, 인적자원 강화, 근로자 여건 개선 등 시장 다변화를 핵심으로 정책을 제시했다. 

이러한 조치는 EU에서의 수출이 점점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재경부에 따르면, EU에서의 봉제품 수출은 2019년 425만 7,000달러에서 34억 1,000만 달러로 2020년 20% 줄었고 2021년 2,726달러로 20% 더 감소했다. 

수출 비중은 2020년 37%에서 2021년 43%로 증가했다. 패션레볼루션캄보디아
수출 비중은 2020년 37%에서 2021년 43%로 증가했다. 패션레볼루션캄보디아

이에 봉제품 수출을 다른 시장, 특히 미국으로 전환하며 문제를 극복할 수 있었다. 수출 비중은 2020년 37%에서 2021년 43%로 증가해 미국이 캄보디아 봉제품 수출 단일 시장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또 캄보디아 수출에서 봉제산업 비중은 2020년 28%에서 2021년 33%로 증가했다. 

그리고 캄보디아의 전체 봉제품 수출은 작년 15% 증가해 112억 달러에 달했다. 올해 1분기 동안 전년 동기 대비 25% 더 증가했다. 

이는 캄보디아가 최근 시행한 자유무역헙정(FTA)이 수출시장을 확대하고 다변화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는 지난 1월 발효된 캄보디아-중국 FTA(CCFTA)와 지역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 그리고 이달 초 발효된 캄보디아-한국 FTA(CKFTA) 등이 포함된다.

뿐만 아니라 캄보디아-일본 FTA(CJFTA), 캄보디아-인도 FTA(CIFTA), 캄보디아-방글라데시 FTA(CBFTA) 등 추가 협정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채결된다면 봉제품 부문 수출은 물론 다른 수출 상품에도 기회가 더욱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키 세레바뜨(Ky Sereyvath) 캄보디아 왕립아카데미 경제전문가는 “더 많은 시장으로 다각화하는 것은 정치적으로도 중요하다”며 “더 많은 협상력을 만들어낼 뿐 아니라 EU의 정치적 압력에도 저항할수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국제통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