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에서 올해 1~10월까지 신규 등록된 사업자만 7만 7,322개로 집계됐다. 이 중 3분의 1이 무역업체로 그간 꾸준히 언급됐던 무역적자 이슈를 해결할 수 있을지 기대되고 있다.
모로코 특허청(OMPIC)에 따르면, 신규 사업체 중 5만 2,968개가 법인이었고 2만 4,354개는 자영업자로 총 7만 7,322개가 등록됐다.
특허청에서 공개한 보고서는 카사블랑카의 세테트, 탕헤르의 테투안과 알호세이마, 라바트의 살레와 케니트라, 마라케시의 사피 등 지역에서 설립된 신규사업자들을 바탕으로 조사해 작성됐다.
이번에 새로 등록된 사업자 중 무역 분야에서의 사업체 수 증가가 도드라졌다. 전체적으로 기업의 36.42%가 무역회사로 등록됐고 건설·공공공사와 부동산이 17.72%로 뒤를 이었다.
모로코는 제조기반 부족으로 소비재, 산업재 수입 의존도가 높아 무역적자가 반복됐다. 여기에 2021년에는 팬데믹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따라 모로코 정부는 ‘메이드 인 모로코(Made in Morocco)’를 재창하며 현지 생산 및 수입대체를 적극으로 추진했다.
산업 부문은 7.12%, 호텔과 레스토랑은 6.46%를 차지했다. 또 정보통신(IT)은 2.59%, 농어업 2.22%, 금융 1.10%였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월 무역적자 4년 만에 최저…수출 회복세 뚜렷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美관세 우려에도 수출 질주…지난 1월 무역흑자 8.4억 달러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코트디부아르, 코코아 수출 130만 톤으로 감축… “기후·병해에 구조적 타격”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도, 양파 수출관세 전격 폐지…"농가 지원·수출 확대 기대"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수출 8개월 연속 상승…2월에도 깜짝 성장
[기획-무역 FOCUS] 대만, AI 수요 타고 수출 주문 '껑충'…예상치 훌쩍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