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조 바이든 행정부가 탄소포집기술(CCS) 보유 기업에 대한 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한다. 이에 따라 미국 중서부를 가로지르는 광대한 에탄올 파이프라인 네트워크 사업이 다시 한 번 주목받는 모양새다.
이번 탄소포집법 관련 사업으로 주목받는 프로젝트는 미국 중서부를 아우르는 에탄올 플랜트 배출을 포착하고 운송하기 위해 제안된 파이프라인 네트워크이다.
아이오와에 본사를 둔 써밋카본솔루션(Summit Carbon Solutions), 앨버타에 본사를 둔 울프카본솔루션 그리고 네비게이터CO2밴처스(Navigator CO2 Ventures) 등 3개 회사는 에탄올 공장과 인구밀집지역을 아우르는 미국 6개 주에 걸쳐 총 3,600마일(5,800km)에 달하는 광대한 에탄올 수송관 건설을 계획하고 있다.
세 회사는 로이터통신에 보낸 성명을 통해 IRA를 지지하는 내용을 발표하기도 했다. 회사 웹사이트에 따르면, 이 프로젝트는 연간 3,900만 톤의 탄소를 포집해 에탄올 연료화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33억 달러 이상의 세금 공제를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파이프라인들은 각 주에서 허가 과정의 다양한 단계에 있다. 제안된 파이프라인 경로를 따라 토지 소유자들 사이에 널리 퍼진 반대는 프로젝트가 진행됨에 따라 장애물이 될 수 있다.
탄소 포집 연합의 공공 정책 및 회원 관계 매니저인 제시 스톨락은 "에탄올 생산은 순수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기 때문에 탄소 포집 프로젝트에 유리하다"며 이번 법안 개정에 긍정의 뜻을 내비쳤다.
8일 바이든 대통령이 서명한 인플레이션 저감법(IRA)은 기후변화의 주범인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포착해 지하에 저장하거나 다른 제품의 구성 요소로 사용하는 산업 프로젝트에 대한 세액공제를 대폭 확대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그 구체적인 내용으로는 CCS 장비를 소유하고 운영하는 회사들이 지하에 저장된 포획된 탄소의 50달러에서 톤당 85달러까지, 다른 제조 공정이나 석유 회수를 위해 사용되는 포획된 탄소의 35달러에서 톤당 60달러까지 모을 수 있도록 한다.
이번 인플레이션 저감법으로 바이오에탄올 생산 업체 등 관련 산업 분야에 대한 기대감도 덩달아 높아지고 있다.
업계는 중서부를 가로지르는 탄소 수송 파이프라인 네트워크의 도움을 받아 탄소포집기술(CCS)을 사용해 2050년까지 순 배출 제로 목표를 달성하기를 기대하고 있다. 이 기술은 바이오에탄올 제조업체들이 운송 전기화를 배경으로 친환경 연료로 제품을 포지셔닝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바이오에탄올은 옥수수나 사탕수수 등 곡물을 발효시켜 추출하는 방식으로 차량 연료 외에 산업용 원료 등 다양하게 활용되는데, 생산과정에서 CO₂를 발생시킨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탄소 문제를 해결하는 CCS 기술이 필수다.
바이오에탄올 무역 단체인 미재생연료협회의 회장 겸 CEO인 제프 쿠퍼는 "인플레이션 저감법은 재생 연료 표준이 15년 전에 확대된 이후 저탄소 바이오 연료에 대한 가장 중요한 연방 정부의 약속"이라며 환영의 뜻을 내비쳤다.
[기획-무역 FOCUS] 싱가포르 3월 수출 5.4% 증가…예상치 밑돌며 경기 우려 증폭
[기획-ASEAN트레이드] 말레이 1분기 성장률 4.4%…내수 회복 속 ‘선방’
[기획-ASEAN트레이드] 인니, 대미 무역 흑자 조정 나서…“수입 확대해 관세 피한다”
[기획-메르코스코프] 에콰도르, 14개월 연속 무역 흑자… 비석유 수출이 견인차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쌀 수출가 1위 탈환… 프리미엄 시장 공략 본격화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