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아라비아가 6개 활주로를 갖춘 초대형 공항 설계 계획을 공개했다. 이 공항의 예상 규모는 인천공항의 두 배에 달한다.
무함마드 빈 살만 빈 압둘아지즈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가 세계적 물류 중심지로서의 리야드 입지를 높이고 교통·무역·관광을 활성화하며 동서를 잇는 다리 역할을 하기 위한 신공항 '킹 살만 국제공항'의 마스터플랜을 공개했다.
사우디 통신사(SPA)에 따르면 킹살만 공항은 6개의 활주로가 있는 세계에서 가장 큰 공항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최대 공항인 인천공항의 경우 현재까지 3개의 활주로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킹 살만 공항은 기존 공항인 킹 칼리드 국제공항(RUH)을 아우르는 형태로 건설될 것으로 보인다.
SPA는 이 프로젝트가 리야드를 세계 10대 도시 중 하나로 바꾸고 2030년까지 리야드의 인구 증가를 1500만~2000만 명으로 지원하고 2030년까지 1억2000만 명, 2050년까지 1억8500만 명의 여행객을 수용하겠다는 사우디아라비아의 비전과 일치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공항이 향후 사우디 관광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했다. 공항은 연간 270억 달러(72억 달러)를 비석유 국내총생산(GDP)에 기여하고 직간접 일자리 10만3000개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공항 지원 시설, 주거 및 휴양 시설, 소매점 및 기타 물류 부동산 12평방킬로미터가 들어설 것이라고 덧붙였다.
또한 공항을 아우르는 지역 전체가 "항공폴리스"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리야드와 사우디아라비아의 문화가 그것의 디자인에 고려될 것이라고 성명은 말하고 또한 재생 가능한 에너지로 동력을 공급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발표는 사우디의 공공투자기금(PIF) 전략의 일환으로 국가교통전략과 글로벌 공급망 복원 이니셔티브(Global Supply Chain Resilience Initiative)에 맞춰 경제 다변화의 일환으로 진행됐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월 무역적자 4년 만에 최저…수출 회복세 뚜렷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美관세 우려에도 수출 질주…지난 1월 무역흑자 8.4억 달러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코트디부아르, 코코아 수출 130만 톤으로 감축… “기후·병해에 구조적 타격”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도, 양파 수출관세 전격 폐지…"농가 지원·수출 확대 기대"
[기획-ASEAN 트레이드] 태국 수출 8개월 연속 상승…2월에도 깜짝 성장
[기획-무역 FOCUS] 대만, AI 수요 타고 수출 주문 '껑충'…예상치 훌쩍 넘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