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집트의 농산물 수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식량위기 고조로 인도와 아프리카, 유럽의 농산물 수입 규모가 고루 늘어난 것이 원인으로 풀이된다.
알 사예드 엘 쿠세르 농림토지재생부 장관은 지난 1월 1일부터 11월 16일까지 이집트 농산물 수출량이 약 561만 5000톤으로 전년 동기 대비 9.1% 증가했다고 18일 공식 발표했다.
1~11월 감귤 수출은 167만 4000톤, 신선감자 수출은 86만 3231톤을 기록했다.
양파, 포도, 콩, 석류 수출량은 각각 43만 1469톤, 15만 4010톤, 16만 5001톤, 13만 1250톤을 기록했다.
고구마 수출은 12만2590톤, 망고와 토마토 수출은 각각 6만6905톤, 3만 7870톤에 달했다.
또 이집트의 마늘, 딸기, 구아바, 수박 수출량은 각각 3만 502톤, 1만 9734톤, 1만 605톤, 9130톤이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
[기획-경제 FOCUS] 독일 2월 수출 ‘깜짝 상승’…제조업 침체는 여전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월 무역적자 4년 만에 최저…수출 회복세 뚜렷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美관세 우려에도 수출 질주…지난 1월 무역흑자 8.4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