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과 태국의 무역액이 목표치인 250억 달러를 목전에 두고 있다.
베트남 산업통상부에 따르면, 베트남‧태국 무역액이 연평균 22.8% 증가해 178억 달러를 기록했다.
포스트코로나로 양구 교류가 정상화한 이후 여행, 세미나, 전시회, 박람회 등 무역 홍보 활동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태국은 베트남 전체 수출품의 60% 이상을 차지한다. 주 수출품목은 스마트폰, 전자제품, 컴퓨터, 차량, 금속 악세서리, 의류. 건설자재 등이다. 특히 철강은 베트남의 주 수입원이다.
태국 베트남 무역청의 응우옌 탄 후이는 가공식품을 선호하는 태국 소비자들의 현지 입맛을 만족시키는 상품으로 시장전략을 짜야한다고 조언했다.
아울러 식품 가공 및 보존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박람회 참여를 높여 제품 홍보에도 힘써야 한다고 덧붙였다.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
[기획-경제 FOCUS] 독일 2월 수출 ‘깜짝 상승’…제조업 침체는 여전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트럼프發 관세 폭탄…인도와의 무역 전선 ‘격랑’ 속으로
[기획-무역FOCUS] 멕시코, 경제성장률 전망 하향…경기 침체 경고등 켜졌다
[기획-글로벌푸드체인] 인니 ‘계란 수출국’ 도약…美 향해 월 160만 개 수출 시동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美 보복 관세 피하려 '선제 관세 인하' 카드 꺼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월 무역적자 4년 만에 최저…수출 회복세 뚜렷
[기획-ASEAN 트레이드] 캄보디아, 美관세 우려에도 수출 질주…지난 1월 무역흑자 8.4억 달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