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네시아가 대미 무역 흑자를 줄이고 미국의 보복성 관세를 피하기 위해 미국산 식량, 에너지, 자본재 수입을 대폭 늘릴 방침이다.
에어랑가 하르타르토 인도네시아 경제조정장관은 미국 워싱턴D.C.를 방문한 자리에서 “미국과의 협상 일환으로, 에너지 제품 약 190억 달러를 포함해 최대 100억 달러 규모의 미국산 수입 확대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미국은 현재 인도네시아 수출품에 대한 32% 관세 부과를 90일간 유예한 상태다.
농산물·자본재 수입 확대… 호주·우크라이나 의존도 조정
에어랑가 장관은 특히 밀, 대두, 대두박 등 농산물과 자본재 중심의 미국산 제품 수입을 늘릴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는 미국의 통상 압박을 완화하는 동시에, 기존 공급처 다변화를 모색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인도네시아밀가루생산자협회 라트나 사리 로피스 전무이사는 “시장 가격과 경쟁력이 맞는다면 정부 방침을 지지할 것”이라고 밝혔다.
2024년 기준 인도네시아의 밀 수입 중 40%는 호주산이었고, 우크라이나가 26%, 캐나다가 16%를 차지했다. 미국산 비중은 4% 미만에 그쳤다. 반면 대두는 89%가 미국산이었다.
美 기업 투자 환경 개선… 광물 공급망 협력도 논의
인도네시아는 이번 협상에서 자국 내 미국 기업에 대한 인센티브와 행정 절차 간소화 등의 우대 조치를 제시했다. 아울러 미국산 원예 제품의 수입 절차를 간소화하고, 핵심 광물 공급망 협력도 논의 중이다.
양국은 미국 무역대표부(USTR), 상무부 장관과의 회담 이후, 60일 이내 협상 타결을 목표로 협의를 이어가기로 합의했다.
[기획-무역 FOCUS] 싱가포르 3월 수출 5.4% 증가…예상치 밑돌며 경기 우려 증폭
[기획-ASEAN트레이드] 말레이 1분기 성장률 4.4%…내수 회복 속 ‘선방’
[기획-ASEAN트레이드] 인니, 대미 무역 흑자 조정 나서…“수입 확대해 관세 피한다”
[기획-메르코스코프] 에콰도르, 14개월 연속 무역 흑자… 비석유 수출이 견인차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쌀 수출가 1위 탈환… 프리미엄 시장 공략 본격화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