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차 생산국 2위의 인도가 올해에도 수출량 1억kg을 훌쩍 넘겼다.
인도 차 위원회(Tea Board of India)에 따르면, 올해 7월까지의 수출량은 1억 1,636만kg으로 작년 같은 기간의 1억 340만kg보다 1,296만kg나 많았다. 지난 6월에 발생한 홍수로 생산량이 감소세를 보인 것과는 대조되는 결과였다.
인도의 차를 가장 많이 찾은 국가는 러시아, 몰도바, 벨라루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등 독립국가연합(CIS)국으로 2,520만kg을 수입했다.
그 뒤로는 1,914만kg인 아랍에미리트(UAE)였고, 주 수입국이었던 이란은 미국의 경제 제재로 1,400만kg에 그쳤다.
인도는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차 생산국으로 총 63만 7,000헥타르에 달하는 지역에 차가 경작됐다.
또 세계에서 가장 차를 많이 소비하는 나라로, 생산된 차의 80%가 국내에서 소비된다. 인도의 2020년 총 차 생산량은 12억 8,300만kg에 달했다.
더불어 인도는 자 전체 수출의 약 10%를 차지하는 세계 5대 차 수출국이다. 수출 총액은 약 6억 8,790만 달러였다.
한편, 인도 차 위원회는 1953년 콜카타에 설립됐으며 1954년에 본격적으로 활동했다. 현재 인도 전역에 17개의 사무소를 두고 있다.
[기획-관세전쟁의포화] 캐나다, ‘탈미국’ 무역 다변화 속도…관세 충격에 대응
[기획-무역 FOCUS] 독일 5월 수출 1.4% 감소…대미 수출 급락 영향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