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국가통계인구조사원(Indec)은 2024년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간 누적 117.8%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2024년 12월 월간 물가 상승률은 2.7%로, 이는 코로나19 봉쇄 조치로 인해 인플레이션이 1.9%였던 2020년 7월 이후 가장 낮은 월간 상승률을 기록하며, 정부의 디스인플레이션 정책이 일정 부분 효과를 내고 있음을 보여준다.
12월 CPI 발표에서 가장 큰 물가 상승 요인은 주택 및 유틸리티 부문(+5.3%)으로, 전기와 가스, 수도 요금 인상 및 주택 임대료 상승이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통신 부문도 5% 상승하며 뒤를 이었는데, 이는 전화 및 인터넷 서비스 요금 조정으로 인한 것이다.
식품 및 비알코올 음료 부문은 모든 지역에서 큰 상승률(+2.2%)을 보였으며, 특히 육류, 유제품, 계란, 빵 및 시리얼 가격의 인상이 두드러졌다.
지역별로는 부에노스아이레스 광역권에서 레스토랑 및 호텔 부문(+4.6%)의 물가 상승률이 두드러졌으나, 의류 및 신발(+1.6%)과 가정용품 및 유지관리(+0.9%)는 상대적으로 낮은 상승률을 보였다.
핵심 CPI는 3.2% 증가했으며, 규제 가격이 포함된 CPI는 3.4% 상승했다. 계절 요인으로 인한 가격은 1.4% 하락해 비교적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냈다.
정부의 디스인플레이션 정책, 신호는 긍정적이지만 부담은 여전
아르헨티나 경제부 장관 루이스 토토 카푸토는 "12월 CPI 상승률이 2.7%로 집계되면서 디스인플레이션 과정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카푸토 장관은 정부가 인플레이션 하락을 위해 시행 중인 다양한 정책들이 점진적으로 효과를 발휘하고 있음을 강조하며, 2025년에도 안정적인 물가 관리가 핵심 과제가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아르헨티나 중앙은행(BCRA) 역시 이러한 경제 흐름에 발맞춰 환율 평가절하율을 조정할 계획을 발표했다. 중앙은행은 2025년 2월부터 아르헨티나 페소의 월간 평가절하율을 기존 2%에서 1%로 낮추기로 결정했다.
BCRA는 성명을 통해 "최근 몇 달 동안 관찰된 인플레이션 안정화 흐름과 경제 회복세를 고려해 이 같은 결정을 내렸다"며 "환율 변동은 인플레이션 관리에서 중요한 앵커 역할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높은 물가 속 여행객의 해외 소비 패턴 변화
한편, 아르헨티나 내부의 높은 물가 상승률은 국내외 소비 패턴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최근 브라질을 여행하는 아르헨티나인들은 브라질에서의 소비가 훨씬 저렴하다고 평가하고 있다.
소셜미디어 계정 @ComunidadFloripa에 따르면, 브라질 플로리아노폴리스에서 6인용 아사도(아르헨티나 전통 바비큐)의 가격은 62.59헤알(약 32,355.4아르헨티나 페소)에 불과하지만, 같은 메뉴가 아르헨티나에서는 60,000페소를 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경제 격차는 인플레이션이 아르헨티나 국민의 생활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보여준다.
경제 회복 과제와 향후 전망
2024년 아르헨티나의 연간 인플레이션이 117.8%라는 높은 수치를 기록했지만, 12월의 월간 상승률이 3% 이하로 떨어지면서 디스인플레이션 신호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긍정적이다.
그러나 여전히 두 자릿수 월간 상승률이 반복적으로 나타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으며, 특히 식품, 유틸리티, 주택 비용과 같은 필수 항목에서의 부담은 국민들에게 여전히 큰 고통으로 남아 있다.
정부와 중앙은행은 환율 안정화와 물가 하락을 통해 경제적 불확실성을 줄이고자 노력하고 있지만, 글로벌 경제의 불안정성과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이러한 목표를 위협할 가능성도 상존한다.
아르헨티나는 디스인플레이션을 기반으로 한 경제 회복을 목표로 하면서도, 물가와 환율 안정화를 위한 긴 호흡의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과제를 안고 있다.
아르헨티나 경제가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고 안정적인 성장 궤도에 오를 수 있을지, 그리고 국민들의 생활비 부담이 얼마나 완화될 수 있을지는 앞으로의 정책과 국제 경제 환경에 달려 있다.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방글라데시, 세계은행과 8억5천만 달러 규모 금융 협정 체결…무역 확대 및 일자리 창출 가속
[기획-무역 FOCUS] 대만, 3월 수출 주문 530억 달러…ICT·전자 호조에 5개월 만에 반등
[기획-메르코스코프] 콜롬비아, 무역적자 급증…2월에만 12억 달러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미중 무역 갈등 속에서도 “2025년 수출 목표 낙관적”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인니, 美 관세 정면돌파…신흥시장 공략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