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 대두 생산자들은 올해 사상 최대 생산량과 수출량을 기대하면서도, 라니냐 기상 현상이 내년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고 있다.
파라과이 곡물수출협회(CAPECO)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770만 톤의 대두가 수출되어 2019/20년 기록인 650만 톤을 뛰어넘었다.
파라과이 곡물수출협회의 대외무역 고문 소니아 토마소네는 2023/24년 생산량이 1,070만 톤을 초과할 것으로 예상되며, 공식적인 수치는 다음 달에 발표될 것이라고 밝혔다.
대두 시장, 신흥 바이어로 다각화 확대
세계 농산물 가격이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파라과이의 대두 수출은 10월까지 30억 7,300만 달러의 수익을 올렸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90만 달러 증가한 금액이다. 주요 수출 대상국은 여전히 아르헨티나(83%)가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브라질(10%)과 러시아(4%)가 잇고 있다.
추가로 페루, 스페인, 미국 등 전통적인 시장 외에도 쿠웨이트가 10월 처음으로 파라과이산 대두를 수입하며 신흥 바이어로 등장했다.
토마소네는 파라과이 대두가 현재 52개국으로 수출이 가능하며, 시장 다각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라니냐로 인한 강우량 부족과 같은 도전에 대비해 철저한 사전 관리가 필요하다고 경고했다.
라니냐 영향, 기후와 물류 비용 부담 커져
기상수문국은 라니냐가 곧 시작되어 2025년 첫 5개월 동안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에두아르도 밍고 국장은 “현재 중립 단계에 있지만, 라니냐가 연말 이전에 시작되어 강우량 부족 현상을 심화시킬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또한, 10월 말 기상학자 맥스 파스텐 카스티요는 라니냐로 인해 파라과이 강의 저수위 사태가 2025년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이로 인해 선박의 화물 적재량이 줄어들며 물류 비용이 30% 상승했으며, 강과 해양 선주 센터(Cafym)는 이로 인한 대외 무역 손실을 약 3억 달러로 추산했다.
파라과이 대두 산업은 라니냐로 인한 어려움에 직면했지만, 업계는 기후 변화의 영향을 줄이고 지속 가능한 생산과 안정적인 수출을 유지하기 위해 전략적 계획 수립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
방글라데시, 세계은행과 8억5천만 달러 규모 금융 협정 체결…무역 확대 및 일자리 창출 가속
[기획-무역 FOCUS] 대만, 3월 수출 주문 530억 달러…ICT·전자 호조에 5개월 만에 반등
[기획-메르코스코프] 콜롬비아, 무역적자 급증…2월에만 12억 달러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미중 무역 갈등 속에서도 “2025년 수출 목표 낙관적”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인니, 美 관세 정면돌파…신흥시장 공략 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