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자니아의 대콩고민주공화국(DRC) 수출 비중이 4.4%로 증가하며, 전통적인 수출 시장인 케냐와 우간다를 앞질렀다.
전문가들은 무역 전쟁과 동아프리카 공동체(EAC)의 신규 회원국 가입으로 무역 역학 관계가 변화한 결과로 분석했다.
탄자니아 은행(BoT)에 따르면, 콩고는 나이로비와 캄팔라를 제치고 탄자니아의 주요 수출국으로 부상했다. 콩고와 소말리아는 각각 2022년과 2024년에 EAC에 가입하여, EAC 회원국은 8개국(케냐, 우간다, 탄자니아, 르완다, 부룬디, 남수단, 콩고, 소말리아)으로 확대됐다
탄자니아 주요 수출국, 남아프리카·콩고
탄자니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3개 회계연도 동안 탄자니아의 대콩고 수출 비중은 3.7%에서 4.4%로 증가했다.
반면, 케냐와 우간다로의 수출은 각각 4.7%, 4.6%에서 4.1%로 감소했다. 탄자니아의 대 DR콩고 수출은 2021/2022년에 3.7%, 2020/2021년에는 2.6%를 기록한 바 있다.
케냐로의 수출 비중은 2021/2022년 6.7%에서 2022/2023년 4.1%로 급감했다. 우간다로의 수출도 2020/2021년 4.6%에서 2022/2023년 4.1%로 하락했다. 부룬디로의 수출은 3% 수준을 유지하며 비교적 안정적인 모습을 보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현재 탄자니아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남아프리카공화국과 콩고민주공화국으로, 각각 전체 수출의 14.8%와 4.4%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콩고의 EAC 가입이 탄자니아 수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로 보인다.
주요 무역국은 중국·남아공·UAE…EAC 내 무역 갈등 우려
탄자니아의 EAC 국가로의 수출 주요 품목은 쌀, 옥수수 등 곡물과 철강, 비료, 시멘트 등이며, EAC로부터의 수입품은 철강, 비누 및 세제, 의약품, 설탕 등 가정용 식료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2022/2023 회계연도 동안 탄자니아 무역의 대부분은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랍에미리트(UAE)와 이루어졌으며, 이들 국가는 탄자니아 수출의 43.5%, 수입의 49.1%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탄자니아의 주요 수출 대상국은 인도(18%), 남아프리카공화국(14.8%), UAE(10.8%)였다. 중국, UAE, 인도는 각각 25.5%, 12.5%, 11.5%의 비중으로 탄자니아 수입의 주요 공급원으로 자리 잡았다.
EAC 회원국들은 현재 운송 및 농업 부문의 필수 재화와 서비스에 대한 수수료와 부과금, 요금 등을 검토 중이다. 이러한 비용은 종종 무역 분쟁으로 이어져 블록 내 역내 무역을 저해하고 있다.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027년까지 성장 목표 달성 어려워” 세계은행 경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