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화천연가스(LNG)를 실은 선박 수십척이 하역할 공간을 확보하지 못해 스페인 해역을 정처 없이 떠돌고 있다. 이에 유럽 시설망 운영자들은 선적을 중단해야 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로이터통신은 유럽이 러시아의 가스 공급 압박에 대응하기 위해 LNG가스를 대량 수입하고 있지만, 수용 공간 부족으로 오히려 화물을 받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보도했다.
이는 해상 운송 연료를 가스로 전환하는 공장들이 최대 한계 상태에서 운영을 하고 있기 때문이다.
적체된 물량을 빠른 시일 내에 풀지 못하는 경우, 해당 선박들은 화물을 하역하기 위해 유럽 외 대체 항구를 찾기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스페인은 유럽연합 국가 중 최대 규모의 재기화 수용량을 가지고 있다. 이는 모든 LNG의 33%, LNG 저장 용량의 44%를 차지한다. 그럼에도 현재 들어오는 LNG물량을 감당하기 힘든 상황이다.
애널리스트와 LNG 터미널 관계자들은 현재 LNG를 적재한 채 스페인과 지중해 주변에서 돌고 있는 선박은 35척 이상이며 그중에서 최소 8척이 카디즈 만에 정박했다고 설명했다.
스페인은 이번 주 재기화 터미널에서 단 6개 슬롯을 제공할 계획이지만, 이는 해역에서 대기 중인 선박 수의 20%에도 미치지 못한다. 스페인은 총 6개의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다.
스페인 정부가 발표한 성명서에 따르면, 스페인 국영 가스공사인 에나가스(Enagas)는 터미널의 용량 초과로 LNG 하역을 거부할 수도 있다.
게다가 스페인 재기화 공장의 높은 점유 수준이 최소 11월 첫째 주까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소식통은 이 같은 상황에 대해 기타 유럽 국가 인근에 십여 척 이상의 LNG 선박이 대기하게 될 수도 있다고 밝혔다.
선박소유주 FLEX LNG 매니지먼트의 오이스틴 칼렉레프(Oystein Kalleklev) 최고경영책임자는 “LNG 선박의 부유식 저장 수준은 항상 높은 상태인데 250만 톤이 조금 넘는 부유식 저장고에 묶여 있다”고 말했다.
데이터 인텔리전스 기업 ICIS의 알렉스 프로리(Alex Froley) LNG 애널리스트는 “스페인 남부 해역에서 대기 중이거나 지중해를 순환하고 있는 수많은 화물뿐만 아니라 영국에서 출발 대기 중인 화물이 있다”고 밝혔다.
게다가 계절에 맞지 않게 따뜻한 날씨가 지속되면서 기대와 달리 스페인 내수 소비가 적을 뿐만 아니라 유럽의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면서 병목현상이 악화되고 있다.
프로리 애널리스트는 겨울이 다가오면서 가격이 인상되고 난방 수요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되는 것을 이 같은 정체의 또 다른 이유로 들었다. 일부 선박들이 인근 해역 대기로 발생한 추가 운임을 상쇄할 수 있게 높은 가격에서 화물을 판매하기 위해 대기 중인 것도 상황에 일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프로리 애널리스트는 “미국 자유무역항 공장 폐쇄 같은 중단으로 일부 회사들이 선적 포트폴리오에 유연성을 두고 있다”며 “따라서 이 같은 전략은 부분적으로 기능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그리고 지난 6월 폭발과 화재 사고 후 운영을 중단한 미국에서 두 번째로 규모가 큰 LNG 수출업체를 언급했다.
그는 “더 많은 화물이 생산된다면 기업들은 그렇게 오랫동안 선적을 대기 상태로 둘 수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중국 정부는 자체 공급량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바이어에게 LNG 판매를 중단했다. 이에 시장 기업들은 더 많은 선박을 아시아 다른 국가들로 향하게 할 수도 있다.
[기획-무역 FOCUS] 싱가포르 3월 수출 5.4% 증가…예상치 밑돌며 경기 우려 증폭
[기획-ASEAN트레이드] 말레이 1분기 성장률 4.4%…내수 회복 속 ‘선방’
[기획-ASEAN트레이드] 인니, 대미 무역 흑자 조정 나서…“수입 확대해 관세 피한다”
[기획-메르코스코프] 에콰도르, 14개월 연속 무역 흑자… 비석유 수출이 견인차
[기획-글로벌푸드체인] 베트남, 쌀 수출가 1위 탈환… 프리미엄 시장 공략 본격화
태국 중앙은행, 미국 관세로 태국 경제 성장 타격 예상…"협상 통해 충격 최소화 나설 것"
인도 아다니항, 25억 달러 규모의 대형 거래로 호주 Abbot Point 터미널 인수
[기획-ASEAN 트레이드] 1분기 무역 호조 이어간 베트남…수출입 쌍끌이 성장
[기획-무역 FOCUS] 인도, 방글라데시 환적 허용 중단…지역 무역에 ‘직격탄’
[기획-무역 FOCUS] 태국, 미 관세 대응 위해 ‘수입 확대·비관세 완화’ 카드 꺼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