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채널

인도, 보석류 수출 27% 성장…“UAE 협정 이후 순금 보석류 거래 늘어”

국제통상신문 2022-10-13 00:00:00

출처=픽사베이
출처=픽사베이

인도의 보석류 수출이 대폭 증가세를 보이며  했다. 지난달 인도의 보석류 수출이 3,019억 5,210만 루피(37억 6,551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월 대비 27.17%나 성장했다. 

인도 보석류수출홍보위원회(GJEPC)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초부터 전반적인 보석류 총 수출이 전년 동기(193억 5,901달러) 대비 누적 기준 12.82% 증가해 205억 8,011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와 함께 보석 업계가 현 회계연도 총수출 목표인 457억 달러의 45%를 차지했다. 

특히 인도-UAE CEPA 협정 후 순금 보석류 거래도 평균 19.43%(달러로 환산 시) 늘어나 성장 동력이 됐다. 

비풀 샤흐(Vipul Shah) GJEPC 회장은 “9월 보석류 성장 강세에 힘입어, 올 마지막 분기에는 휴가 시즌과 축제가 매출을 견인해 기대치를 충족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합성 다이아몬드 수출도 긍정적인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인도와 UAE 간 보석류 무역을 더욱 촉진할 몇 가지 병목현상이 있다”며 “조치를 취해서 수출을 더욱 강확할 수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픽사베이
출처=픽사베이

인도에서 보석류는 수출 외에도 수입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패션 주얼리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WTO 산하 ITC(International Trade Centre) 의 트레이드맵 데이터에 따르면, 인도는 2020년 기준 영국, 스위스, 미국, 터키를 잇는 세계 5위 규모의 금 수입 국가다. 규모는 연간 219억 달러로 세계 유통 규모의 5.8%를 차지한다.

이러한 높은 주얼리 수요와 함께 경기 침체 및 금 가격 인상 등의 요인으로 인도의 많은 소비자들이 패션 주얼리로 관심을 돌리고 있다. 

일부 보석류가 포함된 패션 주얼리는 모든 구성이 보석으로 된 일반 주얼리 제품(Fine-Jewerlly) 제품과는 차이를 보인다. 이러한 패션 주얼리는 귀금속이 아닌 황동, 청동, 알루미늄 등 비귀금속을 사용하는 만큼, 금 가격 상승의 영향을 받아 대체재로 역할이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시장조사업체 MARC에 따르면, 패션 주얼리는 저렴한 비용으로 다양하게 즐길 수 있어, 청소년 연령층(16~19세)에서 패션 등의 목적으로 높은 수요를 보였다. 

세계인구리뷰(World population review)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인도 15~19세의 청소년 연령층은 약 1.26억 명으로 추정되며 인도의 청소년 연령층 인구는 지속적으로 증가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패션 주얼리의 시장도 꾸준한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됐다. 

Copyright ⓒ 국제통상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