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상승이 지속되면서 한국의 수출·수입 물가가 최근 1년 5개월 동안 가장 크게 올랐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8월 수입물가지수는 135.96으로, 7월의 130.21에 비해 4.4%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7월 0.2% 상승한 후 8월에도 연속 상승세를 보이며 지난해 3월 이후로는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수입 물가의 상승은 주로 광산품(7.9%) 및 석탄·석유제품(13.7%), 화학제품(1.8%)의 가격 상승에 기인한다.
8월 기준 수출물가지수는 117.52로 전월 대비 4.2% 상승했으며, 이는 7월 0.1% 상승 이후 두 달 연속의 상승이다. 공산품은 4.2% 올랐으며, 그 중 석탄·석유제품은 15.4%나 급증했다.
유성욱 한은 물가통계팀장은 국제유가 상승의 배경으로 산유국들의 감산이 주요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국제 유가는 8월에 7.5% 상승하여 86.46달러를 기록했다.
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에 대한 의견을 묻자 유 팀장은 "수입물가 상승이 소비자물가에 영향을 미치기까지 1~3개월 시차가 있을 수 있지만, 정부의 물가 안정 정책과 기업의 가격 정책에 따라 그 영향의 정도가 달라질 수 있다"고 밝혔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