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상무부가 글로벌 경제 환경의 전반적인 어려움 속에서 올해 연간 수출 성장률 전망치를 1~2%로 유지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푸싯 라타나쿨 세레로엘그리트(Phusit Ratanakul Sereroengrit) 태국 국제무역촉진부 국장은 민간 부문과의 세부적인 논의를 거쳐 태국 전체 수출품의 78%에 달하는 품목이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쌀, 과일, 음료와 같은 농업 및 식품 부문의 수출은 식량 안보에 대한 세계적인 우려를 반영하여 2% 증가 할 것으로 점쳤다.
산업부에서는 산업 부문도 주목했다. 수출의 거의 30%를 차지하는 전자, 자동차 및 그 부품은 3~5%의 성장 궤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보석류 수출은 10%, 라이프스타일 제품은 2~3% 증가할 것으로 관측했다.
그러나 푸싯 국장은 석유 및 플라스틱 펠릿과 관련된 부문은 올해 위축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의 글로벌 불확실성과 시장 역학을 고려할 때 1~2% 성장 목표는 야심찬 목표이지만, 우리의 목표는 월평균 수출액을 230억~240억 달러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中‧日 등과 성공적 협정 체결
태국은 올해 하반기에 수출을 강화하기 위해 44개의 프로모션 활동을 계획하고 있다.
특히 중남미, 유럽, 중동, 아세안, 중국, 동아시아, 북유럽 국가 등 미개척 시장을 공략할 계획이다. 중국은 약 30개의 하위 활동의 진원지가 된다.
아라다 푸앙통(Arada Fuangtong) 국제무역진흥국 부청장은 전략적 미니 자유무역협정(미니 FTA)을 통해 수출을 강화하겠다는 산업부의 확고한 의지를 강조했다.
앞서 태국은 중국, 일본, 인도, 한국 등 8곳과 협정을 성공적으로 체결했다.
한편, 태국의 수출은 5.4% 감소한 410억 달러를 기록했다. 수입 역시 3.5% 감소한 470억 달러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63억 달러의 무역 적자가 발생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