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와 인도네시아가 2023년 첫 7개월 동안 양국 간 무역이 전년 대비 22% 증가하며 눈에 띄는 증가세를 보였다.
캄보디아 관세청(GDCE)에 따르면 양국 교역액은 전년도 5억 4,970만 달러에서 6억 7,100만 달러로 증가했다. 이 중 캄보디아에서 인도네시아로의 수출은 전년 대비 41.5% 크게 성장해 2,430만 달러를 기록했다.
2023년 초부터 7월까지 인도네시아로부터 캄보디아로의 수입은 21.4% 증가해 6억 4670만 달러에 달했습니다. 이로 인해 캄보디아는 6억 2,240만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다.
캄보디아 왕립 아카데미 소속의 경제학자인 홍 바낙은 “교역량 증가는 수출 상품이 두 나라 국민의 필수품과 일치하고 있다”며 “인도네시아의 방대한 경제 규모와 인구를 고려할 때 인도네시아 생산이 더 효율적이고 비용 효율적”이라고 설명했다.
인도네시아의 수입에 비해 캄보디아의 수출이 적은 이유는 캄보디아의 생산 능력이 제한되고, 인구가 적어 수요가 감소했기 때문일 수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수입품의 상당 부분이 캄보디아 생산에서 원자재 또는 부수적인 부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제품은 이후 세계 시장으로 수출된다.
작년 인도네시아와 캄보디아 교역액은 전년도 6억 3970만 달러에서 9억 4850만 달러로 48.3% 증가했다. 인도네시아로부터의 수입이 50% 증가하여 9억 1,170만 달러에 달했고, 동시에 캄보디아 수출은 16% 급증해 3,680만 달러를 기록했다. 그 결과 캄보디아는 8억 7,490만 달러의 무역 적자를 기록했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