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우리나라 소비재 수출액이 491억 달러로 지난해 동기 대비 28.9%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전체 수출 중 소비재 수출의 비중은 16%로, 2009년 이후 최고치로 기록됐다.
자동차가 전체 소비재 수출의 69.8%를 차지하면서 전체 소비재 수출을 견인했다. 미국으로의 수출 증가가 주요 영향으로 작용했으며, 자동차 수출 중 친환경차의 수출 증가율은 30%를 상회했다. 특히 전기차의 수출 증가율은 102.2%에 달했다.
상반기 최대 수출국은 미국이었으며, 이어 유럽연합(EU), 중국, 아세안, 캐나다 등이었다. 대미 소비재 수출액은 172억 달러로, 지난해보다 41.8% 증가했으나, 아세안(-46.3%), EU(-31.1%), 중국(-9.3%) 등 주요 수출국으로의 소비재 수출은 감소했다.
중국의 경우 화장품 수출 부진 등으로 지난해부터 총액이 줄고 있으며, 아세안 수출은 자동차를 제외한 상위 10대 품목 중 8개 품목의 주력 시장으로 향후 경기 회복 시 확대가 기대된다고 한국무역협회는 분석했다.
한국무역협회의 수석연구원은 "중국으로의 수출은 경기 침체와 자국산 선호로 인해 부진한 만큼 잠재성이 높은 품목을 발굴하고 아세안 등 유망 시장 진출에 힘써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현 상황의 문제점과 해결 방안을 지적했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