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로코의 대외 무역 판도가 급변하고 있다. 유럽연합(EU)과의 무역 점유율은 지속적으로 줄어든 가운데, 아시아와의 거래는 60% 가까이 급증하며 다변화의 흐름을 보이고 있다.
모로코 외환관리국(OE)에 따르면, EU는 2022년 모로코 전체 무역의 58%를 차지하며 약 688억 달러를 기록했다.
반면 EU의 모로코 무역 점유율은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2021년 모로코 전체 대외 무역에서 EU가 차지하는 비중은 63%였으나 2022년에는 58.8%로 떨어졌다. 전문가들은 북아프리카 국가들이 무역 다변화를 시도하고 있는 것인 원인으로 분석했다.
국가별 무역을 자세히 살펴보면 스페인은 모로코의 주요 무역 파트너로 전체 거래의 27%를 차지했다. 프랑스가 23%로 그 뒤를 이었고 이탈리아(7%), 터키(7%), 독일(6%) 등 순이었다.
모로코의 대아시아 무역은 2022년에 60% 가까이 성장하며 큰 폭으로 증가했다.
특히 모로코는 아시아와의 전체 무역 비중이 2021년 19%에서 2022년 22%로 증가했다. 아시아 시장 내에서 중국은 2022년 모로코의 대외 무역 중 30%를 차지했지만, 2021년 대비 40% 급감하며 약 77억 달러에 그쳤다.
외환관리국 보고서는 모로코와 다른 아프리카 국가들과의 무역 관계가 긍정적인 궤도를 유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집트는 아프리카 대륙에서 모로코의 주요 무역 파트너로서의 지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남아프리카 공화국이 그 뒤를 이어 전년 대비 8번째 파트너 국가로 올랐다.ㅊ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