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리핀의 6월 무역 적자가 전년 동월 대비 33% 감소해 39억 2,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필리핀 통계청(PSA) 발표에 따르면, 이러한 적자 감소는 주로 수입의 급격한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파악됐다. 특히 광물 연료, 전자 제품, 철강에 대한 수요 감소가 큰 영향을 미쳤다.
수출은 67억 달러로 전년의 66억 4,000만 달러보다 1%의 소폭 증가를 기록했다. 반면 수입은 전년도 125억 2,000만 달러에서 106억 2,000만 달러로 15%의 급격한 감소세를 보였다.
1월부터 6월까지 6개월 동안의 무역 적자는 6% 감소하여 전년도의 298억 4,000만 달러에서 279억 6,000만 달러로 줄었다.
상반기 수출은 349억 4,000만 달러로 9% 감소한 반면, 수입은 629억 달러로 8% 감소했다.
4억 2,127만 달러로 큰 폭 증가
제품별로는 6월 전자제품 수출이 4억 2,127만 달러로 가장 큰 폭의 증가세를 보였다. 그 뒤를 이어 음극과 그 부분이 4,993만 달러, 구리 정광이 4,088만 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또한, 6월 수출액에서 전자제품이 39억 4,000만 달러를 기록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기타 제조 상품이 3억 5,127만 달러, 기타 광물 제품이 3억 8,100만 달러를 차지했다.
반대로 수입이 눈에 띄게 감소한 것은 광물 연료, 전자 제품, 철강에 대한 수요 감소가 주요 원인이었다. 구체적으로 광물 연료는 11억 4,400만 달러, 전자제품과 철강은 각각 7억 5,653만 달러와 3억 1,904만 달러의 수입 감소를 기록했다.
6월 필리핀의 주요 수입 품목은 전자 제품이 21억 1,000만 달러, 광물성 연료가 15억 3,000만 달러, 운송 기기가 12억 3,000만 달러였다.
또한 산업 기계 5억 7,795만 달러, 식료품 및 생동물 4억 3,494만 달러를 기록했다.
내각 차원의 개발 예산 조정위원회가 내놓은 2023년 전망에 따르면 수출은 1%, 수입은 2% 증가할 것으로 점쳐졌다.
인바운드 상품과 아웃바운드 상품의 차이를 의미하는 무역 수지는 2022년에 전례 없는 583억 2,000만 달러의 적자를 기록해 40년 만에 가장 큰 적자를 기록할 것으로 관측됐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2분기 성장률 7.96%…수출 호조에 미·베 무역합의 ‘청신호’
[기획-무역FOCUS] 캐나다 5월 무역적자 45억 달러…수출 반등에도 여전히 부담
[기획-관세전쟁의포화] 베트남 제조업 위축 속 美관세 완화…무역 긴장 완화 신호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수입 규제 완화…미국과의 관세 협상 앞두고 기업 환경 개선 나서
[기획-글로벌푸드] 아르헨, 대두·옥수수 수출세 대폭 인상…IMF와의 합의 이행 압박
[기획-ASEAN 트레이드] 영국-필리핀 무역, 4년 내 두 배로 확대 가능
[기획-ASEAN 트레이드] 필리핀 2분기 성장률 5.6% 전망…물가 안정·고용 회복 힘입어
[기획-메르코스코프] 칠레, 2024년 수출 사상 첫 1,000억 달러 돌파…구리가 이끌고 농수산이 받쳤다
[기획-ASEAN 트레이드] 베트남, 싱가포르 수출시장 8위로 급부상
[기획-무역 FOCUS] “AI 특수에 힘입어”…대만 5월 수출 주문액 18.5% 급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