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국립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캄보디아는 2023년 상반기에 전기전자 부품 수출이 전년 대비 1.3배 성장해 14억 달러에 달했다. 이는 의류 및 비의류 제품을 포함한 제조 제품 수출이 감소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공산품 수출 감소는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등 캄보디아의 주요 시장에서의 외부 수요 감소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보고서는 의류 제품, 자전거, 고무 수출은 감소한 반면 전기전자 제품 수출은 전년 대비 1.3배 증가했다고 밝혔다.
산업과학기술혁신부의 헹 소쿵 국무장관은 최근 비의류 제조업 수출이 크게 증가해 의류 제조업 수출 증가율을 넘어섰다고 말했다.
그는 캄보디아 산업 개발 정책 2015-2025가 생산 체인 내 기술 투자를 촉진하여 비의류 제조 제품의 수출이 즉각적으로 급증했다고 언급했다.
또한 캄보디아가 노동 집약적 산업에서 기술 기반 산업으로 전환하는 데 긍정적인 모멘텀을 경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년 동안 경제 성장의 주요 동력으로서 수출 부문의 역량을 빠르게 구축해 온 캄보디아는 최근 다각화를 시작했다. 캄보디아 개발연구소(CDRI)는 캄보디아가 의류, 신발, 자전거 생산을 넘어 더욱 다양한 분야로 산업을 발전시키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개발연구소에 따르면 전기전자 산업은 ‘캄보디아 산업개발정책(IDP) 2015-2025’에 포함됐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