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국립은행(NBC)이 외국인 관광, 농업, 건설, 의류 산업의 부활에 힘입어 캄보디아의 2023년 성장률 전망치를 5.5%로 상향 조정했다.
최근 NBC 보고서에 따르면, 관광 부문은 지역적 개선과 코로나19 팬데믹에 대한 통제력 강화에 힘입어 19.9%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농업 부문은 1.1%의 성장률로 완만하게 확장할 것이라는 의견이 제기됐다. 주요 요인으로는 유리한 기후 조건과 역내 포괄적 경제 동반자 협정 및 기타 자유무역 협정의 영향이 꼽힌다.
캄보디아 경제에 큰 영향을 미치는 의류 부문은 미국, EU, 영국 등 주요 시장의 외부 수요 감소로 5.6%의 더딘 성장률을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비의류 제조업 부문은 10.1% 성장할 것으로 관측됐다.
훈센 캄보디아 총리는 지난 6월 약 2만 명의 의류 공장 근로자를 대상으로 한 연설에서 국가 발전의 핵심 기반인 평화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서비스 부문이 산업과 농업을 대체해 캄보디아 GDP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외국인 관광객이 증가함에 따라 서비스 부문이 캄보디아 GDP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
사우디아라비아, 2024년 비석유 수출 1,370억 달러 돌파
태국, 3월 수출 전년 대비 17.8% 증가…3년 만에 최고 성장률 기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