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상반기 한국의 농수산식품 수출액이 작년 동기와 비교해 약 3.8% 감소한 59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다.
3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는 작년 상반기에 이어 성장세를 이어갈 것으로 기대됐으나 올해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
상반기 수산물 수출액은 15억 2,000만 달러로 작년 상반기 대비 10.3% 감소했다. 이 중 명태 수출액은 80.0% 급감했으며, 참치 수출액도 22.6% 줄었다. 그러나 굴과 김 수출액은 각각 24.9%, 10.4% 증가하는 반전을 보였다.
가공식품 분야에서는 37억 1,000만 달러로 1.1% 감소했다. 낙농품의 수출액이 13.2% 감소한 반면, 면류와 음료의 수출액은 각각 13.2%, 6.7% 상승했다. 신선식품의 경우, 수출액은 7억2천만달러로 3.0% 감소했다.
국가별로 분석해보면, 유럽연합(EU) 및 영국으로의 수출액은 16.4% 감소한 3억 6,000만 달러, 미국은 8억 5,000만 달러로 8.2% 줄었다. 일본 수출액도 3.2% 감소했으며, 중화권 수출액은 수산물 수출 부진의 영향으로 2.0%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농수산식품 수출액의 전반적인 감소세는 수년간 지속된 증가세를 끊고, 향후 농수산식품 수출 시장의 동향을 주목하게 만들었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美 관세 앞두고 수출 '깜짝 증가'…독일 제조업 반등 조짐
무역전쟁 여파로 중국 철강 수출 급감…국내 공급 과잉 심화 우려
뉴질랜드 중앙은행, 금융 안정 보고서 발표… “세계 불안정성 속에도 금융 시스템은 견고”
[기획-무역 FOCUS] 캐나다 3월 무역적자 5억6,600만달러…예상 크게 밑돌아
[기획-무역 FOCUS]인도 제조업, 10개월 만에 최고 성장…수출·생산이 끌어올렸다
[기획-아프리카블록] 모로코, 1분기 무역적자 16.9% 급증…수출 둔화 ‘경고등’
[기획-ASEAN 트레이드] 인니, 의료기기 수출 2.7억 달러…AI 기반 초음파로 기술경쟁 본격화
[기획-무역 FOCUS] 베트남-튀니지, 경제 교류 확대 시동…북아프리카 시장 공략 본격화
말레이시아, 무역적자 및 비관세장벽 축소 위해 미국과 협상에 열려
[기획-관세전쟁의 포화] 필리핀, 대미 관세 충격 대응 총력…수출시장 다변화 모색